"효과 없다는데"...무분별한 분사 소독 '여전' / YTN

"효과 없다는데"...무분별한 분사 소독 '여전' / YTN

방역 당국은 뿌리는 소독은 효과도 입증되지 않았고 건강과 환경에도 해로울 수 있다며 거듭 만류하고 있습니다. br br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무분별하게 소독약을 뿌리고 있어서 부작용이 우려됩니다. br br 송세혁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산불 진화차가 도로를 달리며 인도와 버스 정류장에 소독약을 뿌립니다. br br 심지어 초등학생들이 모여 있는 학교 출입문에도 살포합니다. br br 아이들이 자주 이용하는 운동장 놀이기구 역시 소독약을 뿌리고는 닦아내지도 않습니다. br br [자율방역단 관계자(음성변조) : (하루에 소독약) 700ℓ 쓴다고 보면 맞을 거예요.] br br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한 유명 카페, br br 자율 방역단이 통로가 흥건히 젖을 만큼 소독약을 살포합니다. br br 마치 물 청소하듯 식당 유리창에 소독약을 뿌리기도 합니다. br br 뿌리는 소독을 선호하는 것은 빠르고 간편한 데다 방역 효과가 마치 눈에 보이는 듯하기 때문입니다. br br [자율방역단 관계자(음성변조) : 크게 (소독) 효과보다는 주민들의 안전을 위해서 아무래도 지금 방역하는 것 같습니다.] br br 하지만 뿌리는 방식은 소독약이 물체 표면에 골고루 묻지 않아 충분한 살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게 방역 당국의 설명입니다. br br 게다가 자칫 표면에 있는 바이러스가 공기 중으로 다시 떠올라 오히려 감염위험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 br br 소독약은 남용하면 인체는 물론 환경에도 해롭습니다. br br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 : 도로나 길가 등 공기 중에 소독제를 살포하는 것은 소독의 효과가 입증돼 있지 않았고 또 건강 문제나 환경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서 자제하는 게 필요합니다.] br br 방역 당국은 뿌리는 대신 닦는 소독을 권합니다. br br 소독약을 천에 적셔 손이 많이 닿는 곳 위주로 닦고 일정 시간이 지난 뒤 물로 적신 천으로 다시 닦는 겁니다. br br 마스크와 장갑 등 보호장구 착용과 환기는 필수입니다. br br 이런 내용의 지침까지 있지만 지자체들은 방역단에 소독약만 공급할 뿐 소독 방법은 제대로 교육하지 않고 있습니다. br br [자율방역단 관계자(음성변조) : (소독법은 따로 교육받은 적은 있나요?) 아직 받은 적은 없습니다.] br br 코로나19 확산을 막는 것이 최대 과제인 요즘. br br 좀 더 효율적인 방역 활동을 위한 점검이 시급해 보입니다. br br YTN 송세혁[shsong@ytn.co.kr]입니다. br 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6

Uploaded: 2020-07-04

Duration: 02:2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