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 재첩잡이 한창...줄어든 어획량은 고민 / YTN

섬진강 재첩잡이 한창...줄어든 어획량은 고민 / YTN

전통 어업 도구 ’거랭이’로 재첩잡이 한창 br 재첩 채취량 줄어들어 종패 생산에 나서br br br 요즘 경남 하동 섬진강에서는 오래전부터 이어져 온 전통방식의 재첩잡이가 한창입니다. br br 하지만 수확량이 예전 같지 않아서 어민들의 고충이 크다고 합니다. br br 오태인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바닷물과 강물이 뒤섞인 섬진강 하류. br br 대야를 띄우고 몸을 담근 어민들이 강 이곳저곳을 다닙니다. br br 도구로 모래를 긁어 올리면 어른 손톱만 한 재첩이 한가득 올라옵니다. br br 하동 재첩잡이는 독특한 전통방식을 유지합니다. br br 갈퀴가 달린 '거랭이'라는 전통 도구를 이용해 강바닥을 훑으면서 재첩을 잡습니다. br br 재첩은 6월에서 7월 사이, 딱 지금이 맛이 가장 좋을 때입니다. br br [김영대 재첩 채취 어민 : 민물하고 바닷물이 만나는 시기 이때가 제일 맛있죠. 비가 많이 오면은 맛이 떨어져요.] br br 섬진강에서 어민들이 채취하는 재첩은 1년에 730톤 정도. br br 10년 전에는 천 톤 넘게 잡혔지만, 채취량이 줄었습니다. br br 상류에서 내려오는 물이 줄어 염도가 높아진 탓입니다. br br 하류에 있는 재첩을 염도가 낮은 상류로 옮겨도 봐도 생산량 회복은 역부족. br br 이번엔 새끼 재첩을 키워 강에 뿌리는 사업에 처음 나서기로 했습니다. br br [윤상기 경남 하동군수 : 국립수산과학원과 협조를 해서 인공 종패를 생산하기 위해 꾸준히 예산투입도 하고 노력을 같이하고 있습니다.] br br 전통 어업방식으로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에 도전장을 내민 섬진강 재첩잡이. br br 어려운 환경 속에서 채취량을 유지하면서 세계 농업유산에 이름을 올릴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br br YTN 오태인[otaein@ytn.co.kr]입니다. br br 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br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0

Uploaded: 2020-07-12

Duration: 01:4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