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사망’ 경찰 수사도, 조사단 구성도 ‘난항’

‘박원순 사망’ 경찰 수사도, 조사단 구성도 ‘난항’

ppbr br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사망과 성추행 의혹을 놓고 수사와 조사가 진행 중이지만 상황이 녹록지 않아 보입니다. br br사회부 조영민 기자와 짚어봅니다. brbrQ1. 가장 먼저 시작된 게 경찰 수사인데 진척이 좀 있습니까? brbr경찰 수사는 보시는 것처럼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사망 경위를 밝히는 수사, 서울시 관계자의 성추행 방조 의혹에 대한 수사, 이렇게 크게 두 갈래입니다. br br양쪽 수사 모두 주말에도 참고인들을 불러 조사를 하고 있는데, 사망 경위를 밝힐 수사에선 객관적 자료 확보가 고민입니다. br br사망 전 박 전 시장이 누구와 접촉했는지를 확인해야 하는데요, br br통화 기록을 추가로 확인하기 위해 신청한 통신 영장이 법원에서 기각됐습니다. brbrQ2. 사망 현장에서 입수한 휴대전화를 포렌식하기로 했잖아요. 거기서 추가로 물증 확보가 가능한거 아닌가요? brbr네, 어제 포렌식 작업을 위해 성북경찰서에서 서울경찰청으로 휴대전화를 보냈는데요, 아직은 봉인된 상태입니다. br br포렌식 작업을 위해선 유가족이 봉인을 해제할 때 입회하는데 그 일정을 조율 중입니다. brbr하지만 문제는 휴대전화가 신형 아이폰이라는 겁니다. br br아이폰 잠금을 해제하는게 상당히 어렵다는 건 앞선 사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brbr성 착취물을 제작 유포한 조주빈의 아이폰은 넉달 넘게 경찰이 잠금을 풀지 못하고 있습니다. br br청와대 하명수사 의혹 수사 당시 숨진 검찰수사관의 아이폰 해제하는데도 4개월 가량이 걸렸습니다. brbr박 전 시장 휴대전화 포렌식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릴거란 분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brbrQ3. 그런데 박 전 시장 휴대전화가 당초 3대로 알려졌는데, 실제 포렌식은 공용 휴대전화 1대만 진행하는건가요? br br네, 공용 휴대전화 외에 개인 명의 휴대전화 2대가 더 있다는 건 경찰이 전산상에 등록된 기록으로 확인한 건데요, br br경찰은 이 휴대전화의 실물을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br br실제로 사용을 하긴 했는지 현재 누가 갖고 있는지 모른다는 겁니다. br br유가족에게 별도로 임의 제출 등도 요구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brbrQ4. 경찰 수사 상황과 별개로 서울시도 자체 조사를 진행하겠다고 했잖아요. 그런데 아직 시작도 못한 것 같아요? br br서울시가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진상을 규명하겠다고 발표한 게 사흘전입니다. br br하지만 민관조사단에 서울시가 참여하는 것을 두고 '셀프 조사'라는 비판이 제기됐는데요, brbr결국 어제 서울시는 서울시를 빼고 외부 전문가로만 조사단을 구성하겠다고 입장을 바꿨습니다. br br하지만 피해여성을 지원하는 여성 단체가 조사단 구성 협조 요청에 응하지 않고 있어서 구성 자체에 시간이 더 걸릴 것 같습니다. brbr지금까지 사회부 조영민 기자였습니다.


User: 채널A News

Views: 12

Uploaded: 2020-07-18

Duration: 03:4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