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총리 "결정된 것 없다" 신중론...그린벨트 해제 카드 '고심' / YTN

靑·총리 "결정된 것 없다" 신중론...그린벨트 해제 카드 '고심' / YTN

정부가 서울의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검토 중인 그린벨트 해제 카드를 놓고 청와대와 정부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br br 정세균 국무총리는 그린벨트가 한번 훼손되면 복원이 안 된다며 신중론을 띄운 가운데, 청와대도 아직 결정된 건 없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습니다. br br 차정윤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한 그린벨트 해제에 대해 지난주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은 이미 당정 간에 의견을 정리했다고 밝혔습니다. br br 사실상 정부가 큰 가닥을 잡았고 그린벨트 해제에 부정적인 서울시 설득만 남았다는 해석이 나왔습니다. br br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지난 17일 KBS '김경래의 최강시사' 출연) : (그린벨트 문제. 나오셨으니깐. 첨예한 문제니깐.) 아닙니다. 그건 정부가 이미 당정 간을 통해서 의견을 정리했습니다. 여기 관련된 논란을 풀어가는 게 정부의 역할이죠. 그런데 그거를 하느냐 마느냐는 또 다른 판단의 문제입니다.] br br 하지만 이틀 뒤 정세균 국무총리는 그린벨트와 관련한 당정 간 의견이 합의되거나 결정된 건 없다며 선을 그었습니다. br br 한번 훼손되면 복원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겁니다. br br 그러면서 아직 대책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책임 있는 당국자의 발언은 국민을 혼란하게 하고 시장에 잘못된 신호를 보낼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br br 청와대도 신중론으로 입장을 선회했습니다. br br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그린벨트 해제 조치는 효과나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봐야 할 문제라며, 아직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br br 또 그린벨트 해제 문제를 논의하되 결론은 나지 않았다는 취지에서 정 총리와 김 실장의 발언은 같은 내용이라며 이견이 없음을 강조했습니다. br br 최근 여당과 행정부 안에서도 그린벨트와 관련한 이견이 나오면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고, 발언 하나하나가 자칫 투기수요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br br 당분간 당·정·청이 그린벨트 언급에 대한 신중 모드를 보일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해제 여부를 포함한 정부의 주택 공급 대책은 이달 말쯤 공개될 전망입니다. br br YTN 차정윤[jycha@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8

Uploaded: 2020-07-19

Duration: 02:1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