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정수장 정비하겠다는데…“전문 인력 확보가 우선”

낡은 정수장 정비하겠다는데…“전문 인력 확보가 우선”

ppbr br 수돗물 유충 사태, 하루라도 빨리 손을 써야 할 텐데요. br br환경부는 어제 정수장 시설을 보완하겠다고 했지만, 오늘도 청주와 부산에서는 수돗물애서 벌레가 나왔다는 신고가 이어졌습니다. br br환경부의 뒤늦은 조치도 전문가들은 미덥지 못하다고 지적했습니다. br br김단비 기자입니다. brbr[리포트]br충북 청주 한 아파트 수돗물에서 유충이 나왔다는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br br아파트 화장실 바닥에서 발견된 벌레는 나방파리 유충으로 밝혀졌습니다. br br[청주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 br"대야 밑에 있더라고요. 화장실 타일에 있었습니다." br br부산에서도 비슷한 신고가 잇따랐습니다. br br어제 하루에 접수된 의심 신고만 29건, 지금까지 모두 48건이 신고됐습니다. br br다만 부산시는 정수장이 아닌 아파트 저수조나 물탱크 등에서 유충이 유입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brbr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오늘 이번 사태의 책임을 느낀다며 사과했습니다. br br[조명래 환경부 장관] br"관리규정이나 기준과 무관하게 국민 눈높이에서 본다면 분명히 수질 기준 초과했다 이렇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br br환경부는 활성탄 여과지 세척 주기와 함께 노후한 방충망 같은 낡은 정수장 시설이 유충 발생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하고, 문제가 된 정수장 시설을 보수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br br방충 시설을 갖춘다고 해도, 이를 관리할 전문 인력이 부족하면 같은 문제가 반복될 수 있다는 겁니다. br br[구자용 대한상하수도학회장] br"상수도 기술직 직원들이 지난 10년 동안 40 줄었어요. 전국적으로 줄었기 때문에 업무강도가 40 늘었다는 거잖아요. 전문화도 안 돼있고, 고도처리를 아는 사람이 가야될 거 아녜요. 그런 것들이 다 문제가 된 거죠." br br환경부는 일반 정수시설 500여곳을 추가로 조사 중입니다. br br채널A 뉴스 김단비 입니다. brkubee08@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2

Uploaded: 2020-07-22

Duration: 02:0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