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로 곤두박질 친 성장률…깊어진 '코로나 수렁'

-3.3%로 곤두박질 친 성장률…깊어진 '코로나 수렁'

-3.3로 곤두박질 친 성장률…깊어진 '코로나 수렁'br br [앵커]br br 코로나 사태가 덮친 지난 2분기 우리 경제가 외환위기 이후 22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역성장을 했습니다.br br 안 좋을 것으로 예상은 했지만 생각보다 더 나빴는데요.br br 특히 수출은 경제개발계획 시작 무렵인 1963년 이후 감소 폭이 최대였습니다.br br 조성미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코로나19로 수출길이 막히고 내수도 급속도로 얼어붙었던 2분기 경제는 1분기보다 3.3나 뒷걸음질 쳤습니다.br br 외환위기가 닥쳤던 1998년 1분기 -6.8 이래 최악의 성적표입니다.br br 1분기 -1.3에 이어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한 건데 '불황'의 기준인 2분기 연속 역성장이 나타난 것은 2003년 카드 사태 이후 17년 만입니다.br br 성장률 급하락에는 수출 타격이 가장 큰 요인이었습니다.br br 수출이 자동차, 석유제품을 중심으로 1분기보다 16.6나 줄었는데 1963년 4분기 이후 56년여 만에 보는 가장 큰 감소세입니다.br br "수출 측면에서 글로벌 판데믹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극심한 세계경제 침체로 인한 영향이 예상보다 깊게…"br br 건설, 설비투자도 줄었고, 생산에서는 제조업과 농림어업 감소율이 9대로 두드려졌습니다.br br 그나마 성장률 감소 폭을 줄인 것은 소비였습니다.br br 승용차 등 내구재를 중심으로 민간소비가 1.4 증가한 건데,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 지급과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 등의 효과로 분석됩니다.br br 문제는 앞으로입니다.br br 역대 최대 추가경정예산 투입이 시작됐지만, 재난지원금처럼 바로 자극 효과가 나타나는 건 아니기 때문입니다.br br "(소비는) 지금보다는 좀 더 빠질 것으로 생각하고, (성장률이) 더 좋아질 가능성은 없지 않느냐…"br br 정부는 3분기에 경기 반등 총력전을 다짐했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아 보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0-07-23

Duration: 02:0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