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 "월북 탈북민, 강화도 철책 밑 배수로 이용"

합참 "월북 탈북민, 강화도 철책 밑 배수로 이용"

합참 "월북 탈북민, 강화도 철책 밑 배수로 이용"br [뉴스리뷰]br br [앵커]br br 군 당국이 최근 월북한 것으로 추정되는 탈북민 김 모 씨의 동선을 일부 파악해 공개했습니다.br br 강화도 북쪽의 철책 밑 배수로를 통해 경계를 넘은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입니다.br br 서혜림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군 당국은 김 씨가 철책 밑의 배수로를 통해 헤엄쳐서 월북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br br 강화도 북쪽인 월곳리 인근입니다.br br 이 배수로 앞에서 이름을 특정할 수 있는 소지품이 담긴 가방을 발견했다고 군 당국은 전했습니다.br br "해당 인원을 특정할 수 있는 유기된 가방을 발견하고…통과한 지점은 철책은 아니고 배수로로 확인했습니다. 추정하고 있고요."br br 김 씨가 지난 2017년 탈북할 때는 교동도 쪽 한강 하구를 이용했다고 합니다.br br 따라서 이번에도 같은 경로가 의심됐습니다.br br 하지만 당국의 추정이 맞다면 이번 월북 때는 다른 루트를 택한 겁니다.br br 김 씨는 배수로가 감시 '사각지대'라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입니다.br br 철책 자체엔 과학화 경계장비가 갖춰져 있지만 배수로에는 스크린 정도가 설치돼 있다는 설명입니다.br br 북한이 김 씨의 월북일을 19일로 밝힌 데 대해선 기상 등 여건을 종합해 시기를 조사 중이라고 했습니다.br br 이런 가운데, 북한은 불법 귀향자로 인해 코로나 위험이 커졌다며 연일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br br 노동신문은 불법 귀향자에 대해 검사했더니 악성 바이러스 감염자로 의심할 수 있는 석연치 않은 결과가 나왔다며, 주민의 방역규정 엄수 등 철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br br 다만 우리 방역당국은 김 씨에 대한 확진 또는 접촉자 분류 기록이 없다고 말했습니다.br br 북한이 이번 월북 사태를 계기로 코로나19 발생 책임을 남한에 돌리고 내부 기강잡기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향후 남북관계에 어떤 파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br br 연합뉴스TV 서혜림입니다. (hrseo@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0-07-27

Duration: 01:5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