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영민이 국회서 발끈한 까닭

노영민이 국회서 발끈한 까닭

ppbr br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50~19:20)br■ 방송일 : 2020년 8월 25일 (화요일)br■ 진행 : 김종석 앵커br■ 출연 :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이준석 전 미래통합당 최고위원, 최진봉 성공회대 교수, 장예찬 시사평론가brbr[김종석 앵커]br오늘 국회가 참 바빴습니다. 21대 국회 운영위에 처음으로 출석한 노영민 실장인데요. 그리고 국토위에서는 김현미 장관이 답변했습니다. 장소는 달랐지만 그들의 목소리는 꽤 비슷했습니다. 이현종 위원님, 비서실장과 장관 모두 부동산 정책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brbr[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br오늘 일제히 국회에 나와서 비서실장과 국토부 장관이 부동산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고 안정적이 되어가고 있다고 했습니다. 제가 묻고 싶은 게 있어요. 노영민 실장과 김 장관이 생각하는 부동산의 안정화는 어떤 개념인가요? 현재 집값이 오를 데까지 올랐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덜 오른다고 해서 그게 안정화입니까? 저는 아니라고 봅니다. 국민들과 당국자와 서로 개념이 다른 겁니다. brbr[김종석]br진단 자체부터 잘못됐다는 지적이신데요. 오늘 가장 시끄러웠던 곳은 바로 국회 운영위였습니다. 노영민 실장이 발끈하면서 일순간 장내에 소란이 있었는데요. 최 교수님, 말싸움으로까지 번졌는데요. 실제로는 김정재 의원은 서울 평균 아파트 가격이 얼마나 되는지 아냐고 했을 때 직답을 피했고. 노영민 비서실장이 직답을 피한 이유는 어떤 식으로 질문이 흘러갈 것인지 알았기 때문 아닌가 싶기도 하고요.brbr[최진봉 성공회대 교수]br제가 볼 때 김정재 의원이 질문하시면서 의도는 명확했던 것 같아요. 부동산 정책의 실패를 지적하고 싶으셨던 것 같습니다. 노영민 실장이 15년 살았잖아요. 집값이 오른 것을 억대로 오르시니 그걸 못 느끼느냐는 말이 감정싸움이 된 거라고 보거든요. 물론 그런 부분을 지적할 수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너무 감정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도움이 안돼요. 그러다보니 비서실장도 감정적으로 나오는 거죠. 결국 답변 자체의 논리적 전개 자체를 막을 수 있는 부분이 있어서 안타깝다는 생각이 듭니다.brbr[김종석]br그런데 두 사람의 입씨름을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장예찬 평론가님, 내용 자체는 온데간데없고. 노영민 비서실장이 반포 집을 팔았는데 그게 시세 차익이 얼마나 됐고 어느 정부 때 더 올랐는지가 됐는데요. 사실 이것에 대해 팩트체크를 해봐야 하는 것 아니겠습니까?brbr[장예찬 시사평론가]br제가 아주 건조하게 KB시세 기준으로 팩트체크하겠습니다. 노영민 실장의 반포 집, 한신 서래아파트 20평형이죠. 참여정부, 노무현 정부에서 최저가 시세가 2억 원이었고 최고가가 3억 원이었습니다. 1억 5천만 원이 오르면서 대비 75가 상승했어요. 이명박 정부에서는 최저가가 3.6억 원, 최고가가 4.1억 원. 5천만 원이 오르면서 12.5밖에 상승하지 않았습니다. 박근혜 정부에서 최저가 3.9억 원, 시세 최고가가 6.1억 원, 상승률이 55로 좀 됩니다. 문재인 정부 3년 동안 최저가 6.1억 원 최고가 10.5억 원, 4억 원 이상 오르게 되면서 상승률이 73.6.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는 모두 70 넘는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노영민 실장 말처럼 이전 정부에서도 오른 것은 맞지만 유독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 때 상당히 많이 오른 것은 맞다. brbr--------------------------------------------br*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User: 채널A 뉴스TOP10

Views: 13

Uploaded: 2020-08-25

Duration: 11:5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