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락 칠 때 입산 금물...전기 수리도 하지 말아야 / YTN

벼락 칠 때 입산 금물...전기 수리도 하지 말아야 / YTN

태풍 '바비'는 돌풍과 함께 벼락을 몰고 올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br br 갑작스럽게 천둥번개가 친다면 산에 가선 안 되고, 전기 수리도 하지 말아야 합니다. br br 감전사고를 막기 위해 지켜야 할 수칙을 이승윤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br br [기자] br 지난 22일, 천둥 번개와 함께 소낙비가 쏟아진 고양시 북한산. br br 낙뢰에 맞아 추락한 50대 등산객 두 명을 찾기 위해 구조대원들이 다급하게 움직입니다. br br 등산객 한 명은 숨지고, 다른 한 명은 크게 다친 채 발견됐습니다. br br 낙뢰주의보가 발령되거나 번개가 칠 때 산에 오르는 건 금물입니다. br br 높은 곳일수록 벼락에 맞기 쉽기 때문입니다. br br 등산 도중 낙뢰를 만났다면 금속 로프나 등산용 스틱 등 길고 뾰족한 물건은 몸에 지니고 있으면 안 됩니다. br br 또 자세를 낮추고 웅크리고 있다가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는 게 좋습니다. br br 홀로 서 있는 나무는 특히 위험하고, 금속 울타리나 철탑, 가로등에서도 멀리 떨어져야 합니다. br br 여러 사람과 무리 지어 있는 것도 피해야 하는데 일행끼리 서로 접촉하지 말고 최소 1m 이상 거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br br 차 안에 있는 게 밖보다 훨씬 안전합니다. br br 그래도 잠시 정차하는 게 좋고 외부와 연결된 금속 부분과 라디오는 접촉하거나 작동해선 안 됩니다. br br [주문노 한국전기연구원 전기환경연구센터 책임연구원 : 밖에 있을 땐 빨리 실내나 차 안에 들어가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고요. 차나 실내에 있을 때도 가급적 벽이나 차에서 떨어져서 주변 물건에 접촉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br br 실내도 비교적 안전하긴 하지만, 감전사고 예방 수칙은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br br 가까운 곳에 낙뢰가 생기면 수도관이나 배수관을 타고 높은 전압이 침투할 수 있어서 목욕하는 것도 위험할 수 있습니다. br br 집 안팎 전기 수리는 되도록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br br 또 전기제품 플러그를 빼두고, 전기기구와 천장, 벽으로부터 1m 이상 떨어져 있는 게 안전하다고 전문가들은 당부했습니다. br br YTN 이승윤입니다. br br 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br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6

Uploaded: 2020-08-25

Duration: 02:1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