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태풍에 산사태 위험 고조...대피 요령은? / YTN

연이은 태풍에 산사태 위험 고조...대피 요령은? / YTN

태풍이 강타했을 때 인명 피해의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산사태입니다. br br 특히 올해는 역대 가장 긴 장마와 연이은 태풍으로 지반이 약해진 상태여서 산사태 위험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습니다. br br 어떻게 대비하는 게 좋을지, 이승윤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br br [기자] br 산에서 쏟아진 엄청난 양의 흙과 돌, 나무가 마을을 덮쳤습니다. br br 주택들은 지붕만 남긴 채 파묻혔고 마을 안길은 하천으로 변했습니다. br br 지난해 10월 태풍 미탁 때 시간당 130mm 가까운 기록적인 폭우에 삼척에서 난 산사태 모습입니다. br br 국내 산사태는 최근 10년 동안 축구장 3천100개가 넘는 면적에서 발생했고 53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br br 특히 태풍은 강한 바람과 집중호우를 동반하기 때문에 산사태 발생 확률이 급격히 높아집니다. br br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이미 지반이 약해진 상태에서 다시 태풍으로 인한 비바람이 몰아치게 되면 흙의 지탱력이 약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산사태 위험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br br 내가 사는 지역의 산사태 위험도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br br 산림청 '산사태 정보시스템' 홈페이지나 '스마트 산림재해' 애플리케이션에 지역을 입력하면 위험 등급이 나타납니다. br br 산사태 취약지역 주민은 지자체에서 안내한 대피 장소를 미리 파악하고 간단한 생필품을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 br br 산울림이 들리거나 경사면에서 물이 솟는 등 산사태 징후가 있으면 즉시 대피해야 합니다. br br 대피할 때는 가스와 전기를 반드시 차단해야 합니다. br br 또 방송과 인터넷, 재난문자 등을 통해 기상 상황을 계속 확인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br br YTN 이승윤입니다. br 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br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20-09-06

Duration: 02:0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