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여 만에 최대폭 뛴 수도권 전세…"차라리 매매"

5년여 만에 최대폭 뛴 수도권 전세…"차라리 매매"

5년여 만에 최대폭 뛴 수도권 전세…"차라리 매매"br br [앵커]br br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이 5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습니다.br br 그런데도 전셋값이 계속 뛸 조짐에 차라리 집을 사버리겠다고 마음먹은 세입자들이 늘고 있습니다.br br 나경렬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지난달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은 0.95 올랐습니다.br br 0.99 오른 2015년 6월 이후, 5년 3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입니다.br br 서울은 0.6 올라 8월보다 오름폭이 줄긴 했지만, 가격은 1년 넘게 오르고만 있습니다.br br 서울에서 싼 전세 아파트 찾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습니다.br br 3년 전만 해도, 서울 전셋집 10곳 중 6곳은 보증금 4억원 미만이었습니다.br br 하지만 8월엔 이런 전세 아파트가 전체 아파트 전세 물량의 절반도 되지 않았습니다.br br 새 임대차보호법 시행 뒤 재계약을 원하는 세입자들이 늘며 물량 자체가 줄었는데 0대 초저금리가 계속되자 집주인들이 전세를 월세로 돌리며 전세가 더욱 귀한 몸이 된 탓입니다.br br 정부는 집주인들이 높은 전셋값을 월세로 돌리면 세입자들 부담이 커진다며 전·월세 전환율을 4에서 2.5로 내렸지만, 강제 규정이 아니라 현장에선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br br "(지금 나온 물건이) 1억에 300만원이면 11억인데, (전월세전환율을) 3로 잡는다 하면."br br 오를 대로 오른 전셋값에 차라리 집을 사는 게 낫겠다는 세입자들도 늘고 있습니다.br br "비싼 월세가 있거나, 전세가 있어도 너무 비싸다 보니까 이럴 바에야 집을 사는 게 낫지 않나…새로운 전세를 구하더라도 지금 같은 상황이 계속 반복될걸…"br br 코로나 불황에 매매 거래까지 급감했는데도 지난달 서울 아파트값이 0.29나 오른 이유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0-10-05

Duration: 02:0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