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더인터뷰] 北피격 '월북 논란'·조성길 망명...남북 관계 영향은? / YTN

[더뉴스-더인터뷰] 北피격 '월북 논란'·조성길 망명...남북 관계 영향은? / YTN

■ 진행 : 강진원 앵커, 박상연 앵커 br ■ 출연 : 문근식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 br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br br br 국정감사 이틀째인 오늘도 서해 공무원 피살사건을 둘러싼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공무원 피격사건에 이어 조성길 전 대사대리의 망명 등 민감한 이슈가 연달아 발생하면서 이틀 뒤 열릴 북한 당 창건 75주년 기념일에 열릴 열병식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br br 전문가와 함께 이야기 나누어보겠습니다. 문근식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 나오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br br [문근식] br 안녕하세요. br br br 교수님 군수 전문가셔서 조금 이따가 열병식 관련한 질문은 따로 드릴 텐데 이에 앞서서 우리 공무원의 북한군에 의한 피격사건, 피살사건에 대해서 먼저 물어보겠습니다. br br 서욱 국방부 장관이 한 발언인데 공무원의 실종신고 접수 당일에는 월북 가능성이 없다는 취지의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논란이 일고 있는데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br br [문근식] br 30년 이상 군생활을 하고 공직자가 1명이 희생된다는 게 얼마나 참 파장이 큰지 정말 교훈이 큰 것 같습니다. 우리 공무원들 잘해야 될 것 같아요, 일단. 그런데 이번 사건은 추측으로 시작해서 추측으로 끝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이 들어요. 왜냐하면 이게 초유의 사태거든요. br br 그렇기 때문에 바다에서 일어난 일을 목격한 사람도 없고 그냥 계속 추정하는 거예요, 시간별로. 그러다 보니까 그 답답한 상황에서 통신이 그들간의 북한 해역과 남한 해역을 왔다 가는 통신을 보고 다 역추적해서 지금 사건을 기억하는 거거든요. br br 그렇기 때문에 국방부 장관도 지나가는 현장을 목격하는 사람도 없고 그렇기 때문에 단언할 수가 없어요. 단지 그랬을 것이다. 그런데 월북했다, 이렇게 얘기를 하면 안 될 것 같다, 이런 생각이 들어서 약간씩 그것이 왔다 갔다 할 따름이지. 뭘 속이고 이런 건 있을 수가 없어요, 요즘에는. 그래서 참 답답합니다. br br 그런데 통신으로 감청으로 안다는 건 어디까지나 첩보판단, 첩보. 첩보는 가공하고 또 가공하고 해서 여러 가지 정황을 종합해서 정보를 생산하는 거거든요. 우리가 2차 대전 겪고 태평양전쟁 겪으면서 미국 해군이 일본을 결정적으로 강타한 게 해전이거든요. 그때부터 역전이 일어나기 시작해요. br br 그...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20-10-08

Duration: 23:3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