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게’ 알고도 누락…해경의 인체모형 표류 실험도 엉터리

‘꽃게’ 알고도 누락…해경의 인체모형 표류 실험도 엉터리

ppbr br 북한군 피격으로 숨진 공무원 이모 씨 사건, 아직 의문점이 많죠. 특히 고인이 월북했을 거라고 성급히 결론내린 듯한 정황이 속속 나옵니다. br br이 씨가 실종 직전 꽃게 구매대행을 진행했다는 사실도 채널에이에서 단독으로 보도해드린 바 있는데 해경도 이런 사실을 중간수사 결과 발표 전, 직접 확인했다는 정황이 저희 추가 취재로 드러났습니다. br br또 하나의 월북 근거였던, 해경의 인체모형 표류 실험도, 사실상 엉터리였습니다. brbr먼저 남영주 기자, 이어서 김민곤 기자가 보도합니다brbr[리포트]br공무원 이모 씨가 실종된 날은 누나에게 꽃게를 보내겠다고 한 당일이었습니다. br br가족들이 구매자를 모으면 자신이 꽃게를 싸게 사서 1kg 당 8천 원에 택배로 보내주겠다고 한 겁니다. br br실종 직전까지도 꽃게 구매 대행일을 한건데 지난달 29일, 해경의 중간 수사발표에는 이런 내용이 빠졌습니다. br br[윤성현 해양경찰청 수사정보국장(지난달 29일)] br"북측에 월북의사를 표명한 정황, 그리고 표류 예측 분석결과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실종자는 월북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br br채널A 취재 결과 해경은 이 씨에게 꽃게를 공급하기로 한 판매자를 찾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brbr이 씨와 함께 무궁화 10호에 탔던 동료 15명 중 5명도 해경 조사에서 이 씨를 통해 꽃게를 사려고 돈을 입금했다고 진술했습니다. br br해경이 꽃게 판매자와 구매자를 확인한 건 모두 중간수사 결과 발표 전입니다. brbr해경 관계자는 관련 내용을 발표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당시 이 씨의 계좌 내역을 확보하지 못해 구매 대행 사실을 정확히 확인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br br실족사고와 극단적 선택, 월북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를 진행했다는 해경의 설명과 달리, '월북'에만 초점을 맞춰 결론을 내린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br br채널A 뉴스 남영주입니다. br brdragonball@donga.com br영상취재 : 김명철 br영상편집 : 손진석brbr==brbr해경은 지난달 25일, 무궁화 10호 난간에 남아있는 지문을 채취했습니다. brbr이 씨가 배를 이탈하는 과정에서 난간에 흔적이 남았을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서입니다. brbr그런데 지문 감식 결과 난간에서 이 씨의 지문은 나오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brbr난간 높이는 1.2m로 키 180cm인 이 씨가 손을 짚지 않고 넘기는 쉽지 않습니다. brbr월북 의도를 갖고 배에서 이탈했다고 단정 짓기에는 의문이 남는 대목입니다.brbr하지만 해경 관계자는 "강한 바람과 바닷물의 염분 탓에 지문이 제대로 채취되지 않았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brbr앞서 해경은 고장 난 선내 CCTV가 외부의 힘으로 파손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포렌식을 의뢰했습니다. brbr[윤성현 해양경찰청 수사정보국장 (지난달 29일)]br"실종 전날인 9월 20일 오전 8시 2분까지 동영상이 저장돼있고, 정밀감식을 위해 CCTV 하드디스크 원본 등을 국과수에 제출했으며…."brbr감식 결과 CCTV는 전원 공급 불량으로 녹화가 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brbr해경은 지난달 26일 인체 모형을 바다에 빠뜨려 이동 경로를 살펴보는 표류 실험도 했지만 실험 46분 만에 모형이 사라져 실험이 중단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brbr야당은 "실패한 실험을 월북 근거로 삼았다"며 짜 맞추기 수사라고 비판했습니다. brbr해경은 "모형이 소실되기 전까지 파악한 동선은 예상 동선과 유사했다"며 "실험은 실패한 게 아니다"라고 해명했습니다. brbr실험 중단 이유에 대해서도 이 씨 실종 당시와 동일한 조건을 만들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brbr채널A뉴스 김민곤입니다.brbrimgone@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87

Uploaded: 2020-10-10

Duration: 03:4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