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금감원, 부실회사 확인 않고 시정 조치 유예 의혹

[단독]금감원, 부실회사 확인 않고 시정 조치 유예 의혹

ppbr br 이런 황당한 투자가 이뤄질동안 관리 책임이 있는 금융감독원은 뭘 했던 걸까요? br br3년 전, 옵티머스의 자본금이 바닥났을 때로 돌아가 봅니다. br br당시 금감원은 아무런 시정조치도 내리지 않았는데요. br br다른 기업의 투자를 받아 조만간 정상화할 수 있다는 옵티머스 말을 믿은 겁니다. br br그런데, 투자하겠다는 기업 역시 파산 직전의 부실기업이었습니다. br br금감원이 제대로 감시했다면 추가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br br안보겸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brbr[리포트]br2017년 8월 금융감독원 조사 결과, 옵티머스자산운용은 자기 자본이 부족한 사실이 드러납니다. br br인가 당시 보유한 자기 자본의 70를 유지하지 못해 금융 당국이 경영개선 조치를 요구할 수 있는 br'적기시정조치' 대상이었던 겁니다. brbr옵티머스는 3달 후인 11월, 금감원에 경영정상화계획서를 제출하는데 한 주식회사와 그 대표이사로부터 유상증자를 받아 자기자본을 늘리겠다고 약속합니다. brbr하지만 해당 회사는 당시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운 상태였습니다. br br경영정상화계획서를 낸 2017년 11월 해당 회사는 주식 거래 정지와 해제를 반복하고, 채권자가 회사를 상대로 파산 신청까지 했습니다. br br[이병태 카이스트 경영대학 교수] br"주식 거래 정지를 당하는 것은 대개 공시 의무를 충실히 하지 않았거나 또는 작전주들의 대상이 되고 있는 부실한 기업 또는 불투명한 기업일 경우에 그런 사례가 많이 있습니다." brbr하지만 금감원은 해당 회사의 투자 계획을 근거로 옵티머스에 대한 적기시정조치를 유예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br br[권은희 국민의당 의원] br"금융감독원의 지극히 형식적이고 사실은 내용을 전혀 살펴보지 않고, 감독을 전혀 하지 않는 행태 속에서 옵티머스는 그 당시 (재정) 건전성이 없기 때문에 정리가 됐었어야 했습니다. " brbr적기시정조치가 유예된 후 옵티머스는 2018년부터 본격적인 펀드 투자자 모집에 나섰고 수천 명의 피해자가 나왔습니다. br br채널A 뉴스 안보겸입니다. brabg@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4

Uploaded: 2020-10-14

Duration: 02:1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