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맨]독감 백신, 제조사별 차이 있을까?

[팩트맨]독감 백신, 제조사별 차이 있을까?

ppbr br [리포트]br최근 독감 백신 맞을 때 특정 회사 백신을 찾는 분들이 늘었습니다. br br백신을 맞은 뒤 숨지는 사례,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죠. br br안전과 효능 측면에서 수입 백신이 낫다 국산이 낫다 다양한 주장이 퍼지는데요. br br어떤 차이가 있는 건지 팩트맨이 알아봤습니다. brbr백신,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brbrbrbr독감은 매년 변이가 일어나서, 세계보건기구가 2~3월에 올해 유행할 바이러스를 예측해 발표합니다. br br전 세계 백신 제조사는 예측된 바이러스로 백신을 만든다는 공통점 있죠. br br다음은 제조 공법인데요. br br국내에 유통된 독감 백신 제조사 중 9곳은 유정란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해 만들고, 나머지 1곳(SK바이오사이언스)은 세포 배양 방식으로 만듭니다. br br유정란 방식은 오래전 전 세계에 도입돼 기술이 검증됐고, 세포 배양은, 중증 달걀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선택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br br국산 백신과 수입 백신 대체 무슨 차이인지도 궁금하시죠. br br팩트맨이 국내 유통된 모든 백신 살펴봤는데요. brbrbrbr먼저, 국내 공장에서 바이러스를 배양까지 해 직접 생산하는 곳 3곳입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 녹십자, 일양약품)brbrbrbr원액을 직접 만들진 않고 국내 업체에서 사 제조하거나 혹은 원액을 수입해서 제조하는 곳이 5곳. (동아ST, 보령바이오파마, 보령제약, LG화학, 한국백신) brbrbrbr독일이나 프랑스에서 완제품을 수입하는 경우 있습니다. (사노피파스퇴르, 글락소스미스클라인) br br허가 연령은 어떨까요. br br대부분 생후 6개월부터 접종 가능하지만 br3개 제품은 (동아ST, 한국백신 중 1개 제품, 일양약품) 36개월 이상으로 허가받아 의료기관에서 지침에 따라 접종 중입니다. br br물론 공법이나 허가 연령에 일부 차이는 있지만 정부는 제조사가 다르더라도 효능 효과가 같고 안전성을 포함해 동일한 기준에서 허가 받았다고 강조하는데요. br br시민들이 백신 제조사까지 따지게 된 건 최근 백신 유통사고와 잇따른 사망사고가 원인이 됐다는 분석입니다. br br이 밖에도 궁금한 점은 팩트맨! 많은 문의 바랍니다. br br서상희 기자 br brwith@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15

Uploaded: 2020-10-22

Duration: 02:0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