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美 국방차관보 대행 “주한미군 현 수준 유지 고정 안 돼”

[단독]美 국방차관보 대행 “주한미군 현 수준 유지 고정 안 돼”

ppbr br 보름 전 열린 한미 안보협의회. br br 당시 공동기자회견이 갑자기 취소되면서 뭔가 어색한 분위기였는데 공동성명에서도 "주한미군 현 수준을 유지한다"는 문장이 빠져 여러 해석이 나왔었죠.br br 바로 그 회의에 참석했던 미 국방부 고위 당국자가, 채널 A에 입장을 밝혔습니다. br br 주한미군을 현 수준으로 유지할지 정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br br 워싱턴에서 김정안 특파원이 단독 보도합니다.br br [리포트]br 지난달 한미 안보협의회에서 에스퍼 미 국방장관 옆을 지킨 헬비 미 국방부 인도태평양안보 담당 차관보 대행. br br 한반도 정책 등을 총괄하는 헬비 대행은 채널A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주한미군 현 수준 유지' 내용이 공동성명에서 빠진 이유를 묻자 지난 7월 에스퍼 장관의 답변을 먼저 언급했습니다. br br [마크 에스퍼 미 국방장관] br “주한미군 철수를 지시한 바 없습니다. (그러나) 역동적 병력전개와 같은 새로운 개념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br br 계속해서 더 많은 부대들의 역내 순환배치를 추진할 것입니다.” br br 현 수준 유지를 확약할 수 있냐는 질문엔 "방위공약을 어떻게 이행할지는 고정되지 않았다"고 답했습니다. br br 한국에 대한 방위공백은 없다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필요시 주한미군 감축이나 철수 가능성도 열려 있다는 점을 공개 시사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br br 한국 언론과는 첫 인터뷰이기도 한 이번 인터뷰에서 헬비 차관보 대행은 6페이지 분량의 빽빽한 답변을 미국 대선 직전임에도 보내왔습니다. br br 조 바이든 미 민주당 후보가 한 국내매체에 "주한미군 철수를 위협하며 한국을 갈취하는 식의 행위를 하지 않겠다"고 공언하는 기고문을 보내온 시점과도 묘하게 겹칩니다. br br 한편 우리 국방부는 미군 감축과 관련해 어떤 논의도 없었다며 주한미군을 현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예년 문구가 빠진 건 미국이 해외 주둔 미군 병력을 융통성 있게 조정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습니다. br  br 미 대선의 승자가 누구든 한미 동맹의 구조적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지적과 함께 내년 한반도 정세 또한 요동칠 것이란 분석입니다. br br 워싱턴에서 채널A뉴스 김정안입니다.


User: 채널A News

Views: 0

Uploaded: 2020-11-01

Duration: 02:1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