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 상승폭 더 커지자…잠잠하던 집값도 '들썩'

전셋값 상승폭 더 커지자…잠잠하던 집값도 '들썩'

전셋값 상승폭 더 커지자…잠잠하던 집값도 '들썩'br br [앵커]br br 서울에서 불붙기 시작한 전세난이 지방으로 옮겨붙으며 전국의 전셋값 상승폭이 커지고 있습니다.br br 전세시장의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가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건데, 높은 전셋값이 매매시장까지 자극할 것이란 우려도 현실화하고 있습니다.br br 이재동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이번 주 전국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0.23, 5년 7개월 만에 가장 상승폭이 컸습니다.br br 서울은 강남지역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커졌고, 세종과 울산, 인천, 충남도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습니다.br br 지난 7월 계약갱신청구권 도입 뒤, 전세 물량이 줄면서 전세는 말 그대로 부르는 게 값이 돼 버렸습니다.br br "집주인의 입장에서는 전세금을 은행에 넣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이득이 금리가 떨어지면서 적게 되니까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세를 올릴 수밖에 없는 그런 요인들이 좀 있어서…"br br 전셋값 고공행진의 불똥은 한동안 소강상태를 보이던 매매시장으로 옮겨가는 분위기입니다.br br 전세난에 지친 세입자가 아예 집을 사는 쪽으로 돌아서고 있기 때문입니다.br br 이번 주 전국 아파트값 상승률은 6·17 부동산 대책 직후 수준까지 다시 커졌습니다.br br 특히,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서울 외곽 지역과 서울 출퇴근이 가능한 비규제지역 김포, 파주 등의 오름세가 두드러졌습니다.br br "6억8천만 원 밑으로 있는 것들이 팔리기 시작했고 지금은 8억 원 찍었어요. 인터넷으로 뒤졌는데 전세가 없으니까 여기는 (집값의) 70 대출이 되니까 건너오는 거죠."br br 전세난이 전반적 주거난으로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에 정부는 단기 대책 검토에 나섰지만, 발표 시점도 잡지 못할 정도로 뾰족한 방안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1

Uploaded: 2020-11-05

Duration: 02:0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