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美 일자리 보호 최우선...한미 통상환경은 완화 기대 / YTN

바이든, 美 일자리 보호 최우선...한미 통상환경은 완화 기대 / YTN

미국의 차기 대통령으로 유력한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는 트럼프처럼 미국인 일자리 보호를 최우선으로 여겨 일단 '자국 이기주의'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하지만 세계무역 질서만큼은 지키자는 입장이 분명해 한미 통상환경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br br 이광엽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br [기자] br 바이든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는 해외에 공장을 둔 미국 기업들을 다시 국내로 불러들이겠다는 공약을 강조했습니다. br br 강력한 조세 정책을 통해 기업 공급사슬의 국내 구축을 강화해 일자리를 더 늘려보겠다는 계획입니다. br br [조 바이든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 월스트리트의 무디스는 저의 경제공약을 살핀 결과 일자리 천860만 개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트럼프 정부보다 국내총생산, GDP 규모가 1조 달러 더 많아지는 것입니다.] br br 바이든은 '노동자 기반의 통상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의지가 뚜렷하면서도 반덤핑 등 무역구제조치들을 남발한 트럼프의 통상정책에는 비판적입니다. br br [조 바이든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 트럼프는 통상 정책을 말해왔지만 결국 재앙을 불러서 위스콘신의 유제품 산업을 파괴했습니다.] br br 바이든은 세계무역기구, WTO 규정을 준수하고 무역을 통한 시장확대 방식을 선호해 한미 통상환경의 완화 조치가 기대됩니다. br br [문종철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바이든의 경우 정치적으로 동맹들과의 결속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트럼프처럼 동맹들한테도 그렇게 빡빡하게 나가지는 않을 거라는 가정이 전제된 거죠.] br br 하지만 주요 변수는 중국의 경제성장을 위협으로 간주하고 동맹국들과 포위망을 형성해 중국을 견제하겠다는 '신냉전' 입장입니다. br br 따라서 의회 외교전문가인 바이든이 우리나라에 미국과 중국 가운데 한쪽을 택하라는 압박이 거세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br br 미국의 새 정부 출범 이후에는 관행적으로 일자리가 많은 철강산업에 대해 상계관세 등 보호무역조치가 이뤄진 점이 국내 산업에는 또 다른 악재가 될 수 있습니다. br br [권혁민 전경련 산업전략팀장 : 특히 미국은 대선 이후 이런 (무역보호)조치들을 집중해서 철강 산업분야 일자리를 지키고 이를 통해 정치적 지지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게 됩니다.] br br 이와 함께 바이든 후보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오는 2025년까지 '탄소 조정세' 부과 계획을 제시해 우리나라와 새로운 통상분쟁이 빚어질 가능...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

Uploaded: 2020-11-05

Duration: 02:3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