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내부거래 약 200조…2세지분 많을수록 비중↑

대기업 내부거래 약 200조…2세지분 많을수록 비중↑

대기업 내부거래 약 200조…2세지분 많을수록 비중↑br br [앵커]br br 재벌그룹들 계열사끼리 거래는 꼭 필요한 것도 있지만 총수 일가의 배를 불려주기 위한 경우도 적지 않아 당국의 감시 대상인데요.br br 중하위 재벌보다 10대 재벌이, 또 총수 2세 지분율이 높을 수록 내부거래가 여전히 많은 실정입니다.br br 김지수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지난해 삼성과 현대차, SK, LG 등 공시대상 64개 대기업 집단 내부거래 금액은 200조원에 육박했습니다.br br 이 가운데 상위 10대 그룹 내부거래 금액은 150조원으로 전체의 75%를 차지했습니다.br br 총수일가 2세 지분율이 높은 곳일수록 내부거래 비중이 커지는 점도 특징입니다.br br 총수 2세 지분율이 20% 이상인 회사의 내부거래 비중은 19.1%로 전체 평균보다 1.5배 이상 높았습니다.br br "총수 2세 지분율이 높은 기업에 일감을 몰아줘서 승계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한 기존 대기업 집단의 편법적 승계 사례에서 보듯이 승계작업과 연관성이 큰 것으로 추정됩니다."br br 규제를 피해 내부거래가 이뤄지는 모습도 뚜렷했습니다.br br 사익편취 규제 사각지대로 불리는 총수일가 지분율 20%이상 30% 미만 상장사와 자회사의 내부거래액은 26조 5,000억원으로 규제대상에 오른 회사들의 8조 8,000억원보다 훨씬 컸습니다.br br 1% 미만의 지분율 차로 아슬아슬하게 규제를 벗어난 현대글로비스, LG, KCC건설, 코리아오토글라스, 태영건설 등 5개사의 내부거래 비중은 23.1%에 달했습니다.br br 사각지대 기업의 거래 95 이상이 수의계약인 것도 의심스러운 대목입니다.br br 총수 일가 지분 30 미만 기업도 사익 편취를 규제하는 공정거래법 개정안은 현재 국회에 '공정경제 3법'으로 묶여 계류중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br br goodman@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0-11-12

Duration: 01:4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