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 공항 느낌 아니다…20m 넘는 수심 위 건설 우려”

“가덕도, 공항 느낌 아니다…20m 넘는 수심 위 건설 우려”

ppbr br 4년 전 김해 신공항 확장을 권고했던 프랑스 용역기관은 이번 결정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br br당시 실사단장이었던 장 마리 슈발리에와 화상통화를 했습니다. br br슈발리에 씨는 수심이 깊은 가덕도에 공항을 짓는 것을 상당히 우려합니다. br br정하니 기자입니다. brbr[리포트]br 4년 전, 정부 의뢰를 받아 현지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동남권 신공항 사업 논란의 종지부를 찍었던 당시 실사단장 장 마리 슈발리에 씨. br br[장 마리 슈발리에 당시 영남권 신공항 용역 책임자] (2016년 6월) br"저희는 김해공항 확장을 권고합니다." br br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던 가덕도를 떠올리며 이렇게 잘라말합니다. br br[장 마리 슈발리에 전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 수석 엔지니어] br(왜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십니까?) "가본 적 있나요? 가덕도를 보면 공항 부지라는 느낌이 들지 않습니다." br br 20미터에 달하는 가덕도 주변 수심 탓에 매립에 투입되는 비용과 건설과정을 걱정합니다. br br[장 마리 슈발리에] br"수심이 꽤 깊어 엄청난 작업입니다. 상당한 도전일 겁니다." br br 환경적 요인도 언급했습니다. brbr 가덕도 주변 매립으로 섬의 형태는 물론이고, 가덕도 옆으로 흐르는 낙동강 하구의 모양도 바꿔, 강의 흐름이 달라질 것이란 주장입니다. br br[장 마리 슈발리에] br"한국정부에 의해 진행된 연구들은 (환경에) 큰 영향이 없다고 보는 듯 합니다." br br 기술적 근거를 토대로 나온 유일한 권고사항인 김해공항 확장안을 뒤집은 한국 정부에 대해 에둘러 비판했습니다. br br[장 마리 슈발리에] br"계획 변경을 정당화할 만한 어떤 새로운 내용도 보이지 않습니다. 첫 결정을 고수하라고 충고하고 싶지만 그럴 수 없네요" br br 슈발리에 씨가 수석 엔지니어로 근무했던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은 세계 3대 공항 설계 회사로, 일본 간사이공항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공항 등, 전세계 공항 50곳의 프로젝트를 도맡았습니다. br br채널A뉴스 정하니입니다. br brhoneyjung@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10

Uploaded: 2020-11-19

Duration: 02:1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