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문회 도덕성 검증 비공개 추진...국민 71% 반대 / YTN

청문회 도덕성 검증 비공개 추진...국민 71% 반대 / YTN

여야가 국회 인사청문회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움직임에 착수했습니다. br br '정책 검증'만 공개로 하고, '도덕성 검증'은 비공개로 하겠다는 건데, 청문회 취지를 훼손한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br br 이연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br [김태호 당시 국무총리 후보자(2010년 8월) :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더 이상 누가 되지 않겠다는 생각으로 저는 오늘 총리 후보직을 사퇴합니다.] br br [안대희 당시 국무총리 후보자(2014년 5월) : 국무총리 후보로 지명된 이후 전관예우를 비롯한 여러 가지 의혹들로 인해 국민 여러분을 실망시켜 죄송합니다.] br br 과거 도덕성 검증 과정에서 낙마했던 이명박, 박근혜 정부 총리 후보자들입니다. br br 인사청문회가 도입된 지 20년째, 검증 과정에서 수많은 고위 공직자가 낙마했습니다. br br 문재인 정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br br 특히, 조국 전 장관은 청문회를 앞두고 제기된 가족 의혹이 검찰 수사로 이어져 재판까지 받고 있습니다. br br [문재인 대통령 지난해 9월 9일 : 국회의 인사 청문 절차가 제도의 취지대로 운용되지 않고 있고, 국민 통합과 좋은 인재 발탁에 큰 어려움이 되고 있다는 답답함을 토로하고 싶습니다.] br br 문 대통령의 요청에 박병석 국회의장이 청문회에서 도덕성 검증은 비공개로 하자고 제안하고 나섰습니다. br br 여야 원내대표도 일단 제도 개선을 위한 TF 구성에는 합의했습니다. br br 하지만 '깜깜이' 검증이 될 거란 우려에 여론은 싸늘합니다. br br 국민 10명 가운데 7명이 인사청문회 도덕성 검증을 '공개' 로 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br br [남은경 경실련 정책국장 : 깜깜이 검증이 될 가능성이 크죠. 문제가 되는 부분을 정확하게 드러내고 기준을 통해서 걸러내는 것이 아니라 내부적 합의를 통해서….] br br 여론을 의식한 듯 야당에선 청와대가 인사검증 자료를 모두 제공한다는 전제조건이 충족돼야 도덕성 검증을 비공개로 할 수 있다고 단서를 달았습니다. br br [조혜민 정의당 대변인 (지난 16일) : 도덕성 검증 청문회를 비공개로 진행하기 위한 전제 조건들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명확히 밝힙니다.] br br 지나친 신상털기 탓에 모두 손사래를 치면서, 인사 때마다 인물난이 되풀이되는 건 사실입니다. br br 하지만 청문회 도입 취지가 국민의 알 권리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비공개 검증은 보다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br br YTN 이연아[yalee21@ytn....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4

Uploaded: 2020-11-21

Duration: 02:3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