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보도 '국산 둔갑' 軍 CCTV "중국발 악성 코드 연결" / YTN

YTN보도 '국산 둔갑' 軍 CCTV "중국발 악성 코드 연결" / YTN

’국산 둔갑 의혹’ 軍 CCTV "중국발 악성 코드 연결" br ’해강안 사업’ CCTV 중국산 의혹 단독 보도 br 보도 후 국방부 감찰·안보지원사령부 조사 착수 br 안보지원사령부 "CCTV 웹페이지 중국 IP로 설정" br "IP 주소는 중국 베이징…악성 코드 유포 사이트"br br br 육군이 접경 지역에 200대 넘게 설치하고 있는 CCTV의 핵심 부품이 중국산이라는 의혹, 지난달 YTN이 단독 보도했는데요. br br 보도 이후 국방부가 감찰에 나서고 안보지원사령부도 조사에 들어갔습니다. br br 그 결과 CCTV를 관리하는 웹사이트가 중국 발 악성 코드와 연결돼 해킹에 취약한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br br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김우준 기자! br br 우리나라 경계와 안보를 담당하는 중요 시설 설비가 중국발 악성 코드와 연결돼 있다니 충격적인 내용입니다. br br [기자] br 지난달 7일 YTN은 219억 규모의 국경 강화 사업인 '해강안 사업'에 쓰이기로 한 국산 CCTV가, 중국에서 핵심 부품 등을 들여와서 조립한 뒤 국산으로 둔갑했다는 의혹을 단독 보도했습니다. br br CCTV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이 중국산이었다는 지적이었는데요. br br 보도 이후 국방부에서 감찰에 착수했고, 안보지원사령부도 CCTV를 조사한 뒤 '해·강안 경계시스템 취약점 점검결과'를 내놓았습니다. br br 조사 결과, 국방 경계를 담당할 CCTV를 관리하는 웹페이지가 중국 IP로 설정돼 있던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br br 그리고 해당 IP를 확인해보니, 주소는 중국 베이징발 악성 코드 유포사이트였고, 실제로 문제의 IP를 통해 다수의 악성 코드가 배포된 이력도 있었습니다. br br 안보사는 CCTV 조립 과정에서 중국업체가 IP를 심어놓은 뒤, 국내로 들여왔다고 보았는데요. br br 중국업체가 군사 기밀 유출 등 고의성을 가지고 IP를 심어 놓았는지는 아직 확인하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br br br 이와 관련해서 오늘 국회에서 기자회견도 있었죠? br br [기자] br 국방위원회 소속 하태경 국민의 힘 의원이 오전에 기자회견을 열었는데요. br br 하 의원은 '해강안 CCTV 악성 코드 사태'를 심각한 국가 안보 위기 문제로 보았습니다. br br 하 의원은 국방 경계의 핵심인 CCTV에 찍힌 기밀 군사 자료가 악성 코드를 통해 외부로 한꺼번에 유출됐을 수 있었다며, 군 당국의 보안 취약점이 적나라게 드러난 사건이라고 강도 높게 비난했습니다. br br 하 의원의 말 직접 들어보시죠. br br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 : ...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3

Uploaded: 2020-11-26

Duration: 03:2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