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북제재 위반 제보 창구 개설…"최대 55억 포상"

美, 대북제재 위반 제보 창구 개설…"최대 55억 포상"

美, 대북제재 위반 제보 창구 개설…"최대 55억 포상"br br [앵커]br br 미국 국무부가 대북제재 위반 제보를 받는 웹사이트를 개설했습니다.br br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가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이지만 끝까지 제재를 통한 대북 압박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인데요.br br 워싱턴에서 임주영 특파원입니다.br br [기자]br br 알렉스 웡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는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가 주최한 화상 세미나 기조연설에서 대북제재 위반 제보를 위한 웹사이트, 디피알케이리워드 닷컴(dprkrewards.com)을 개설했다고 밝혔습니다.br br 최대 500만 달러, 약 55억 원의 포상금도 제공된다고 설명했습니다.br br "북한 열병식은 북한이 계속해서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에 높은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북한의 미사일과 핵 생산 시설이 돌아가는 동안은 제재를 해제하고 더 많은 수입을 북한에 쏟아붓는 일을 결코 하지 않을 것입니다."br br 그동안 테러 정보 신고·포상 홈페이지를 운영해왔지만 대북제재 위반 제보를 받는 별도 웹페이지를 만든 것입니다.br br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임기 말기에도 대북 제재를 늦추지 않고 압박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br br 트럼프 정부는 지난달 대선 패배 이후에도 8개월 만에 북한의 노동자 해외 송출에 연루된 북한과 러시아 기업을 제재 대상에 추가했습니다.br br 웡 부대표는 섣부른 제재 완화는 비핵화 협상을 위한 핵심 추동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br br 중국을 향해선 대북 제재를 집행해야 할 의무를 명백히 위반했다며 날을 세웠습니다.br br 중국이 유엔 금지령을 어기고 최소 2만 명의 북한 노동자를 계속 수용해왔으며 지난해 미국은 500차례 넘게 북한에서 중국으로 금지된 물품을 운반하는 선박을 발견했다고 주장했습니다.br br 또 다른 화상세미나에 참석한 마크 내퍼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부차관보도 중국이 대북 제재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다며 중국은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고 또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br br 워싱턴에서 연합뉴스 임주영입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0-12-02

Duration: 01:5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