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 내정자 두고도 논란...출구 못 찾는 한일관계 / YTN

대사 내정자 두고도 논란...출구 못 찾는 한일관계 / YTN

악화된 한일관계가 주일대사 내정자에 대한 일본 일부 언론의 비판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br br 관계 개선의 계기도 양국은 좀처럼 찾지 못하고 있는데, 결국은 정상 차원의 결단이 있어야 해법이 마련될 수 있다는 지적이 높습니다. br br 김도원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강창일 주일대사 내정자에 대한 일본 우익 성향 언론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br br 강 내정자가 예전에 일본이 러시아와 갈등을 빚고 있는 이른바 북방 영토, 일왕 호칭 등에 관해 했던 발언을 문제 삼고 있습니다. br br 우리 정부에도 한일관계 개선을 위해 쓴소리를 했던 강 내정자가 양국의 다리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했던 정부로서는 당혹스러운 상황입니다. br br [강창일 당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지난해 7월) : 우리 정부도 원칙과 명분에 집착하다 보니 시기를 놓친 부분이 있습니다. 여기서 정치적 원칙과 명분 주장하지 말고 정치로 해결할 것을 풀어나갔어야 했는데….] br br 박지원 국가정보원장 등 고위급 인사가 잇따라 일본을 다녀오면서 돌파구가 열릴 수 있다는 기대도 나왔지만, 아직은 성과가 없습니다. br br 한일 양국 모두 코로나19 재확산, 정부 지지율 하락 등으로 한일관계에 신경 쓸 여력이 없기도 합니다. br br 연내 개최는 사실상 어려워졌지만, 내년 초라도 한중일 정상회의가 성사된다면 관계 개선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이원덕 국민대학교 교수](전화 녹취) : 정상 간의 소통과 대화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한중일 정상회담을 서울에서 개최하는 것을 모멘텀으로 해서 대일관계를 풀어가고 관계를 개선해나가는 것이 우리 국익이나 전략적 이익에 부합한다고 생각하고…] br br 바이든 차기 미 행정부가 한미일 공조를 강조하는 것도 변수입니다. br br 일본은 바이든 정부가 출범 뒤 한일관계 개선을 요구할 것으로 보고, 일본 측 입장을 전달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br br 이런 가운데 강제징용 피해 배상을 위한 일본 기업 자산 현금화 절차는 더디지만 하나씩 진행되고 있습니다. br br 한일 양국 모두 받아들일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려면 결국 정상 차원의 결단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br br YTN 김도원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5

Uploaded: 2020-12-19

Duration: 02:1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