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수출 2년 만에 최대...환율 하락에 '팔수록 손해' / YTN

중소기업 수출 2년 만에 최대...환율 하락에 '팔수록 손해' / YTN

코로나19 여파 속에도 중소기업 수출은 2년 만에 최대 규모로 늘었습니다. br br 하지만 원-달러 환율이 1,100원 안팎까지 떨어지는 바람에 이제는 '팔수록 손해'라고 합니다. br br 조용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지난 40년째 조립식 앵글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입니다. br br 신제품을 개발하고 홈쇼핑과 온라인쇼핑몰 판매에 힘입어 올해도 15개국 수출을 이어갔습니다. br br [민효기 스피드랙 대표 : 아무래도 집에 머무는 시간 때문에 가구 시장·정리 용품 시장이 활성화돼서 다들 그쪽에 매출이 늘다 보니까 저희도 따라 같이 는 것도 있고요, 국내에 온라인 쪽으로 계속하다 보니까 해외에도 온라인화되는 데 적응을 빨리 잘 한 것 같아요.] br br 지난달 우리나라 중소기업 수출 총액은 95억 달러, 코로나19 대유행 속에도 2년 만에 최대 실적을 냈습니다. br br 미국 수출은 14.6, 중국 수출은 9.7 각각 늘었습니다. br br 전체 수출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달 20를 훌쩍 넘을 정도로 커졌습니다. br br 문제는 수익성입니다. br br 중소기업이 이윤을 보장받을 수 있는 원-달러 환율은 1,166원, 손익분기점 환율은 1,118원으로 조사됐습니다. br br 하지만 환율이 계속 하락하는 추세 속에 이제는 1,100원 안팎 수준이어서 '팔수록 손해'인 구조가 됐습니다. br br [김태환 중기중앙회 국제통상부 부장 : 기업들이 수주해서 제품을 생산하고 수출하고 돈 받고 하는 과정을 3개월 정도 보더라고요." + "현재 손익분기점 환율 이하이기 때문에 사실은 수출하면서도 손실이 나는 상황이 되는 거죠.] br br 중소기업 10곳 가운데 7곳은 환율변동 위험에 대비해 환율을 고정하는 '환 헤지' 비율이 전체 액수의 20를 밑돌고 있습니다. br br 중소기업들은 대기업과 달리 환율변동 대응에 매우 취약한 구조여서 새해에도 원화 값이 강세를 유지하면 수출 실적이 호조세를 보여도 실제로는 남는 게 없는 상황을 맞을 전망입니다. br br YTN 조용성[choys@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4

Uploaded: 2020-12-30

Duration: 02:1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