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역 사이 거리 1km인데…서울 전역 고밀 개발?

지하철 역 사이 거리 1km인데…서울 전역 고밀 개발?

ppbr br 정부가 곧 내놓을 부동산 공급 대책에 서울 역세권 고밀도 개발을 허용하는 계획이 포함될 전망입니다. br br그런데 서울의 역 사이 평균 거리가 1km에 불과해서, 지하철만 지나가면 계획에 포함될 가능성이 큽니다. br br박지혜 기자가 실측까지 해봤습니다.brbr[리포트]br[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지난해)] br"역세권 면적만 500m로 하면 서울 면적 반 정도 됩니다. 역 가까이 있으면 (용적률을) 300 이상으로 올려도 되지 않겠습니까." br br변창흠표 주택공급 핵심은 역세권 범위를 300미터에서 500미터로 확대하고 용적률을 최대 700까지 풀어주겠다는 겁니다. brbr역 승강장이 기준인데 광화문역의 경우 광화문부터 덕수궁 담벼락까지가 역세권입니다.brbr"저는 지금 서울 1호선 동대문역에 와 있습니다. 다음 역까지 얼마나 걸릴지 직접 걸어보겠습니다. 2분 정도 걸으니까 바로 다음 역인 동묘앞 역에 도착했습니다. 두 역 사이는 500m 정도인데요, 국토부 계획대로라면 역사이 부지 전부 역세권입니다." br br서울 지하철의 역간 평균거리는 1km 남짓. br br웬만한 곳은 다 역세권이니만큼 곳곳이 벌써 들썩이고 있습니다. br br[흑석역 인근 공인중개사] br"역 근처잖아요. 10억 이상 가지고 들어오셔야 재개발 투자가 가능해요. 문의는 조금 오는데 물건이 없어서 매매는 안 돼요.” brbr반면 노선 3개가 에워싸고 있는 장위동은 같은 동네지만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br br역세권이냐 아니냐에 따라 용적률이 3배 이상 차이 나기 때문입니다.br br[지용재 장위8구역 추진위원장 (비역세권)] br"역세권에서 조금 벗어나 있는데도 역세권과 8구역하고 용적률 차이가 너무 많이 나기 때문에 최대한 용적률을 높여주면…" br br전문가들은 난개발을 우려합니다. br br[이창무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br"500m는 너무 과하죠. 지나친 확대인 거 같아요. 그럴 거면 역세권 고밀 개발이 아니라 가능한 재개발 지역을 설정하는 게." br br정부는 설 전에 역세권 고밀 개발을 포함한 공급 대책을 발표합니다. br br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 br brsophia@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9

Uploaded: 2021-01-26

Duration: 02:1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