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정상 통화...한미 밀착 견제·北 도발 억제 '이중 포석' / YTN

한중 정상 통화...한미 밀착 견제·北 도발 억제 '이중 포석' / YTN

바이든 행정부가 동맹 강화를 통한 대중 압박을 예고한 가운데 한중 정상 간에 통화가 이뤄져 그 배경에 관심이 높습니다. br br 중국은 한미 간 밀착을 견제하면서도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 데 있어 한국의 역할을 바라는 이중 포석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이교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br [기자] br 8개월여 만에 성사된 한중 정상 간 통화는 40분이나 진행됐습니다. br br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양국의 전략 변화를 탐색하고 공동 이익을 심도 있게 논의한 자리가 됐을 것이라는 관측이 흘러나옵니다. br br 이 점에서 시진핑 주석이 북한 비핵화가 한중 공동의 이익이고, 한반도 정세가 총체적으로 안정적이라고 언급한 점은 눈길을 끄는 부분입니다. br br 미중 갈등과 북미회담 교착 국면에서 한국의 중재 역할에 대한 기대가 담겨 있다는 분석입니다. br br 시 주석이 북한 8차 당 대회를 평가하며 북한이 미국, 한국과 대화의 문을 닫지 않은 것으로 본다고 말한 점도 이를 뒷받침합니다. br br [김한권 국립외교원 교수 : (북한의 도발이) 사실상 중국을 전략적으로 견제하는 데 하나의 명분이 되는 행동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에 중국 입장에서는 북한과 미국이 다시 대화를 재개하고 한반도 문제가 안정화되길 바라고 있습니다.] br br 두 정상의 통화가 한미 정상 간 첫 통화를 앞둔 미묘한 시점에 이뤄진 점도 주목됩니다. br br 바이든 행정부가 동맹과 함께 대중 압박에 나설 것임을 거듭 경고하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br br [양갑용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한국을 좀 더 미국에 휩쓸리지 않도록, 미국에 완전히 경사되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것이고, 그래서 아마 전화 통화를 하지 않았나 싶고요.] br br 바이든 행정부가 트럼프 행정부에 이어 전략적 경쟁자 중국에 대해 고강도 압박의 고삐를 늦추지 않을 태세여서 우리 정부의 부담은 갈수록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YTN 이교준[kyojoon@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21-01-27

Duration: 01:5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