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산업부 문건 작성 한 달 뒤, 한수원 “수력발전이 유일”

[단독]산업부 문건 작성 한 달 뒤, 한수원 “수력발전이 유일”

ppbr br p원전 건설 담당 기관은 한국수력 원자력인데요. br br산업부의 원전 문건 작성 한달 뒤, 이 한수원 이사회에서도 북한의 전기 공급 방안을 논의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br br산업부 문건과는 다소 다른 의견을 냈는데요. br br최주현 기자가 자세히 취재했습니다. brbr[리포트]br2018년 6월 15일 오전 서울의 호텔에서 열린 한국수력원자력 긴급 이사회. br br상위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가 북한 원전건설 추진 문건을 작성하고 한 달 뒤입니다. br br월성 원전 1호기 조기 폐쇄가 이사회 안건으로 올라오자 반발이 나왔습니다. br br[현장음] br"오늘 긴급하게 (결정)해야 하는 이유라든지 근거가 있는지…" brbr남북 경협을 대비해 원전을 폐쇄하지 말고 운영 중단 후 유지 보수하는 게 어떻냐는 의견도 제시됐습니다. br br[현장음] br"전기를 북한에 보내주는 상황을 대비했을 때 무슨 수로 전기를 줄 것이고…brbr대안으로 휴지한다고 하면 언제라도 재가동할 수 있는…" brbr그러나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당시 북미 협상과 대북 제재를 고려할 때 제약이 많다고 밝혔습니다. br br정 사장은 "남북 경협 진전이 있어도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대규모 설비가 아니다"라며 br br"북에 전력을 제공하는 목적이라면 최소 수력발전 보완이 유일한 방책"이라고 말했습니다. brbr산업부가 정부 입장은 아니라면서도 원전 건설 같은 설비까지 검토했던 것과 달리, br br실제 이 사업을 담당할 공기업인 한수원은 현실적 어려움을 내비친 겁니다. br br한수원은 "노후화된 북한 수력발전소의 현대화가 효율적·현실적 대안으로 판단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brbr당시 북한 전력 공급과 월성 원전 조기 폐쇄 의결은 관련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br br채널A 뉴스 최주현 입니다. br brchoigo@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3

Uploaded: 2021-02-02

Duration: 02:0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