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나메기 세상"...故 백기완 선생 눈물의 영결식 / YTN

"노나메기 세상"...故 백기완 선생 눈물의 영결식 / YTN

노나메기, 함께 올바로 잘 사는 세상. br br 노동운동가로 한평생을 보낸 故 백기완 선생이 만든 우리말입니다. br br 이 네 글자를 내걸고 열린 영결식에는 추모객 8백여 명이 참석해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습니다. br br 감염 우려로 영결식을 허가하지 않은 서울시는 추후 과태료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br br 엄윤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br [기자] br 고 백기완 선생의 영정이 손자의 손에 들려 빈소를 나섭니다. br br 가장 먼저 들른 곳은 생전에 고인이 몸담았던 통일문제연구소. br br 그 앞에서 제를 지낸 뒤, 평소 백 선생이 자주 가던 학림다방에서 마지막으로 커피도 대접했습니다. br br 운구차가 대학로 일대를 도는 동안 고인의 넋을 기리는 노제가 진행됐습니다. br br 생전 민족문화에 남다른 관심을 가졌던 만큼 꽃상여와 풍물패 등 전통 장례 절차를 재현했습니다. br br [김세균 상임 장례위원장 : 백기완 선생님의 불호령 소리가 들리는 것 같습니다. '무슨 장례식이냐. 이 장례식을 전사들이 출전하는 출정식으로 바꿔'라고 외치는 것 같습니다.] br br 서울광장에서 열린 영결식에는 시민사회단체 인사들과 일반 시민 8백여 명이 모였습니다. br br 독재와 맞서 싸우고 민주화를 위해 힘쓴 백 선생을 기억하며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습니다. br br [석찬희 서울 동숭동 : 우리 시대에 어른이시고, 늘 그분의 판단은 옳으셨고 우리가 따라가야 할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차마 용기를 내지 못한 발걸음을 항상 앞장서서 걸어주시고 외쳐주시고.] br br [문정현 신부 : 뒤따라가 곧 만나 뵙겠습니다. 백 선생님 계시던 바로 그 자리에 가서 앉아 있겠습니다. 선생님.] br br 잠시 소란도 일었습니다. br br 한 시민이 방역 수칙을 지키지 않은 채 영결식을 진행한다며 항의하면서 조문객과 승강이를 벌인 겁니다. br br 경찰 제지로 큰 다툼으로 이어지진 않았습니다. br br 앞서 서울시는 감염 우려를 들어 시민 분향소와 영결식을 허가하지 않았지만, 장례위원회 측은 시민의 뜻이라며 강행했습니다. br br 경찰에 강제 해산을 요청하지 않아 충돌 없이 진행됐지만, 서울시는 추후 변상금 부과 등 법적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br br YTN 엄윤주[eomyj1012@ytn.co.kr]입니다. br br 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br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3

Uploaded: 2021-02-19

Duration: 02:4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