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대책 이후 아파트값 상승 주춤...봄 이사철 '1차 분수령' / YTN

2·4 대책 이후 아파트값 상승 주춤...봄 이사철 '1차 분수령' / YTN

연일 역대 최고 상승 폭을 갈아치우며 거침없이 상승하던 아파트값이 2·4 대책 발표 이후 주춤하는 모습입니다. br br 신고가가 속출했던 연말보다 가격을 낮춘 거래도 속속 이뤄지고 있는데요, br br 봄 이사철을 앞두고 부동산 시장이 안정세로 진입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br br 취재 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신윤정 기자! br br 먼저 부동산 시장 상황부터 정리해 볼까요. br br [기자] br 서울 32만 가구를 포함해 전국에 83만 가구를 공급하기로 한 정부의 2·4 대책 발표 이후 아파트값 급등세가 진정되는 모습입니다. br br 서울은 물론, 수도권과 전국에서 비슷한 모습인데요, br br 한국부동산원의 집계를 보면 전국 주간 아파트값 상승률은 2월 들어 0.28에서 0.27, 0.25까지 떨어졌습니다. br br 서울 역시 0.1에서 0.09, 0.08로 3주 연속 오름폭이 소폭 감소하고 있습니다. br br 민간 시세 조사업체인 부동산114 조사를 봐도 2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4 올라 2월 첫째 주 상승률 0.17보다는 덜 올랐습니다. br br 실제로 서울의 아파트 단지에서는 이전보다 가격이 하락한 거래를 쉽게 찾을 수 있는데요, br br 서울 마포구 공덕동에 있는 전용 59㎡ 아파트는 지난 10일, 12억 4,700만 원에 팔렸는데, 지난달 역대 최고가보다 800만 원 빠진 금액입니다. br br 용산구 산천동에 있는 같은 면적 아파트도 지난해 말 10억 6,500만 원까지 거래됐다가 최근에는 9억 8,000만 원에 손바뀜했습니다. br br 상승률 둔화와 함께 1월 거래량도 크게 줄었는데요, br br 지난달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9만 679건으로 전달 대비 35.4 감소했고 서울 거래량은 만2,275건으로 24.2 감소했습니다. br br br 아직 이르기는 하지만, 2·4 대책의 효과가 반영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을지가 궁금한데요? br br [기자] br 최근의 아파트값 상승 폭 축소는 2·4 대책과 설 연휴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한국부동산원도 대책 발표 이후 매수 문의가 줄면서 관망세를 보이고 있고, 설 연휴를 전후로 거래가 줄었다고 설명했는데요, br br 전문가들은 2·4 대책 효과를 확인하려면 시장의 움직임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br br 정부가 강력한 공급 신호를 준 건 맞지만, 현금 청산 등의 불확실성에 따른 관망세에 불과할 수 있고, 집값 단기급등에 따른 피로감 등도 작용했다는 겁니다. br br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 : 2.4 공급대책 발표 이후 과열...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7

Uploaded: 2021-02-22

Duration: 04:5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