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부진 속 3% 성장 전망…국채 인수제엔 문제 제기

내수 부진 속 3% 성장 전망…국채 인수제엔 문제 제기

내수 부진 속 3 성장 전망…국채 인수제엔 문제 제기br br [앵커]br br 한국은행이 올해 첫 경제전망을 내놨습니다.br br 지난해 11월 내놓은 3 성장 전망은 유지했지만, 내수는 계속 부진할 것으로 봤습니다.br br 이주열 총재는 자영업자 손실 보상용 국채 직접 인수 논란과 관련해 한은 국채 인수제도 자체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br br 이동훈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로 3를 제시했습니다.br br 3.1인 국제통화기금, 3.2인 정부보다 낮은 건데, 지난해 11월 전망을 유지한 겁니다.br br 하지만 부문별 전망치는 크게 바뀌었습니다.br br 수출 증가율은 기존 5.3에서 7.1로 크게 올린 반면, 민간소비 증가율은 3.1에서 2로 대폭 내렸습니다.br br 취업자 증가 폭도 13만 명에서 8만 명으로 크게 내려 잡았고 실업률은 더 높은 4로 예상했습니다.br br 코로나19 여파 속에 내수, 체감경기가 여전히 부진할 것이란 이야기입니다.br br "겨울철 코로나19 국내 확산세가 생각 보다 심화하면서 소비가 지난번에 저희가 봤던 것보다는 더 부진할 것으로…"br br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1에서 1.3로 상향 조정했는데 원윳값 상승 등을 반영한 것으로 인플레이션 우려는 없다는 게 한은의 전망입니다.br br 이 같은 여건을 반영해 금융통화위원회는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연 0.5로 동결했습니다.br br 한편, 이주열 총재는 최근 자영업자 손실보상 재원 마련을 이유로 정치권이 꺼낸 한은의 국채 직접 인수와 관련해 제도의 존속 자체를 고민해야 할 때라고 언급했습니다.br br "1950년 제정됐는데 그때 상황은 정부의 세입 기반이 매우 취약했었고…긴 세월이 흘렀고 지금 여건을 감안해서…이 조항이 존치될 필요가 있는지 그런 것은 좀 논의해볼 필요가 있다…"br br 주로 후진국의 재정자금 마련에 이용되는 부작용 심한 이 제도를 주요국들처럼 없앨 때가 됐다는 겁니다.br br 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1-02-25

Duration: 02:1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