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여권' 해외서 도입 검토…"전세계 규범 필요"

'백신여권' 해외서 도입 검토…"전세계 규범 필요"

'백신여권' 해외서 도입 검토…"전세계 규범 필요"br br [앵커]br br 유럽을 중심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자에게 여권을 발급하자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br br 이른바 백신 여권인데요, 우리 당국도 도입을 논의 중이라면서도 제도화에 대해선 아직 신중한 입장입니다.br br 배삼진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코로나 백신을 맞은 사람에게 정부가 발급하는 증명서인 백신 여권.br br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접종 증명서로 여행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자는 구상에서 나왔습니다.br br 유럽 연합을 중심으로 공론화 과정에 있는데, 관광산업 의존도가 높은 그리스, 스페인 등에서 도입에 적극적인 상황입니다.br br 이스라엘에서는 백신을 맞은 사람에게 아예 그린 패스를 발급해 자국 내 다중시설 이용을 허용하고 있습니다.br br 다만 각국의 백신 접종률 편차가 크고, 유행 상황도 많이 달라 백신 여권이 시기상조라는 의견도 많습니다.br br 백신의 항체 지속 기간이 아직 명확하지 않고, 어떤 백신을 몇 회 맞았을 때 효과를 인정해야 할지도 검증이 필요한 부분입니다.br br "접종 시기도 중요하고…백신 접종을 했다는 것이 이 사람이 병에 안 걸릴 수 있다고 100 보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br br 당초 부유한 국가 위주로 백신 접종이 이뤄졌고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접종을 포기한 경우도 있어 접종 여부로 인한 차별도 우려되는 부분입니다.br br 전세계 백신 접종률이 이제 3를 조금 넘은 만큼, 집단면역을 통해 감염병 대유행에서 벗어나는 게 우선이라는 겁니다.br br 방역당국은 해외 상황을 주시하면서 대응 방안을 마련한다는 입장입니다.br br "국제적인 규범 문제와 같이 연동이 되기 때문에 여러 국가들에서 같이 논의를 통해서 전 세계적으로 규범들을 만들 필요가 있겠다는 부분입니다."br br 다만 백신 접종이 계속 진행되고, 경제활동 재개 요구도 커지는 만큼, 백신 여권에 대한 수요도 커질 거라는 관측도 나옵니다.br br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3

Uploaded: 2021-03-03

Duration: 02:0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