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무·국방장관 17일 방한...대북정책 조율 주목 / YTN

美 국무·국방장관 17일 방한...대북정책 조율 주목 / YTN

美 국무·국방 장관 다음 주 한일 연쇄 방문 br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첫 장관급 방문 br 한미, 대북정책 방향·정상회담 등 논의할 듯br br br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미 국무장관과 국방장관이 오는 17일 방한합니다. br br 미국이 한미 방위비 협상 타결을 계기로 대북정책 조율은 물론 중국 견제를 겨냥한 한미일 삼각 공조 복원에도 속도를 내는 모습입니다. br br 이교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br [기자] br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 장관이 다음 주 일본에 이어 한국을 방문합니다. br br 오는 17일 한미 외교 장관 회담이, 다음날에는 외교와 국방 장관이 함께 참석하는 2+2회담이 열릴 예정입니다. br br 한미 2+2 회담은 2016년 이후 5년 만입니다. br br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첫 장관급 방문으로 동맹 관계 강화를 위한 의지가 엿보입니다. br br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 (3일) : 우리는 동맹국들, 협력국들과 연대를 재활성화할 것입니다.] br br 한미 양측은 대북 정책 방향은 물론 전시작전권 전환과 한미 정상 회담 개최 등 현안을 폭넓게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외교부는 "한반도 문제와 지역 협력에 대한 양국 간 소통과 공조를 강화하고, 한미 동맹을 발전시켜 나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br br 또 일본을 먼저 방문하는 블링컨 국무장관이 안보 협력을 매개로 한일 당국 간 대화 재개의 돌파구를 마련할지도 주목됩니다. br br 이번 한일 연쇄 방문은 무엇보다 중국 견제를 위한 한미일 삼각 협력의 틀을 복원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중국을 견제하겠다는 분명한 입장을 바이든 행정부가 여러 차례 밝혔기 때문에 이번에 와서는 역시 중국에 대한 견제가 핵심 의제로 논의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br br 바이든 행정부는 12일 화상으로 첫 쿼드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데 이어 미일, 한미 동맹 강화에 나서는 등 반중 전선 구축에 속도를 내는 모습입니다. br br 미국은 인도 태평양 지역 우방들과의 연대를 다진 뒤 이를 토대로 중국과 고위급 담판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YTN 이교준[kyojoon@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21-03-10

Duration: 01:5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