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M도 홀딱 반한 달항아리...조선 백자실에 ‘달멍’ 하러 갑니다

RM도 홀딱 반한 달항아리...조선 백자실에 ‘달멍’ 하러 갑니다

  br 나도 이런 독방 하나 있었으면 싶은 아담한 공간에 희고 둥근 항아리가 놓여 있다. 뒤쪽 벽면엔 누군가의 일기 같은 영상이 고요히 흐른다. 눈 내리는 겨울 심산유곡의 친구를 찾아가는 길, 보름달이 응원하듯 내려다보는 풍경이다. 그야말로 ‘달멍’(달을 멍하게 바라봄)하게 되는 시간이다. br     br 최근 새단장한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3층 분청자기 백자실에서 만날 수 있는 달항아리 공간이다. 유독 너른 공간(면적 13.5㎡)을 전세 낸 주인공은 보물 제1437호 ‘백자 달항아리’. 높이 41㎝, 입지름 20㎝, 바닥지름 16㎝, 몸통지름 40㎝의 넉넉한 크기다. 벽면에 흐르는 영상은 중앙박물관 소장 19세기 그림 4점을 조합하고 재구성했다. 김수철(?~1862 이후)의 ‘매화서옥도’, 전기(1825~1854)의 ‘매화초옥도’, 이인문(1745~1824 이후)의 ‘눈 속에서 벗을 찾아가다’, 조희룡(1789~1866)의 ‘붉은 매화와 흰 매화’ 등이다. 모두 달밤의 정취가 잘 어우러지는 그림들이다. br   br 조선 도자기 500여 년의 역사적 흐름을 한데 보여주는 분청자기 백자실엔 ‘분청사기 구름 용무늬 항아리’(국보 제259호) 등 국보 6점과 보물 5점을 포함한 400여 점이 전시된다. 그 중에서 ‘백자 달항아리’만 단독 공간에 전용 의자까지 배치했다. 이수경 학예연구관은 “담백한 방에서 순백색 달항아리를 마주하며 무언의 대화를 나눌 수 있게 연출했다”면서 “코로나19로 인해 번잡하고 지친 마음을 힐링하게 된다는 관객들이 많다”고 했다. br   br 달항아리를 특별 대우한 건...


User: 중앙일보

Views: 369

Uploaded: 2021-03-13

Duration: 01:4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