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가 현실화율 70%…가격 안정 vs 세부담 전가

공시가 현실화율 70%…가격 안정 vs 세부담 전가

공시가 현실화율 70…가격 안정 vs 세부담 전가br br [앵커]br br 정부가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각종 세금을 매기는 기준인 공시가격을 전국 평균 20 올리기로 했죠.br br 집 가진 사람들, 특히 다주택자들의 세부담은 지난해보다 무거워질 수밖에 없는데요.br br 다주택자들,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요.br br 부동산 시장의 전망, 나경렬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서울 노원구의 이 아파트, 전용면적 84㎡의 시세는 1년 만에 2억 원 뛰어 11억 원 수준입니다.br br 공시가격도 2억 원 올라 올해 7억 6,400만 원, 시세 대비 공시가 비율은 69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br br 이 아파트는 공시가격이 급등하면서 재산세율 인하 혜택을 볼 수 없게 됐습니다.br br 이에 따라 집주인들의 세부담도 커졌는데 1주택자도 지난해보다 120만 원 정도 더 내야 합니다.br br 2배 정도 오르는 종부세율에다 공시가격까지 급등하면서 다주택자들의 부담은 더 커집니다.br br 양도세 중과, 보유세 부담 시점인 6월 이전, 다주택자들이 매물을 내놓으며 가격이 안정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배경입니다.br br "다주택이면 그중에서 자기 것 좋은 것 하나 갖고 나머지는 처분하지 않겠나…"br br 다만 지난해 매매나 증여를 통해 매물을 이미 정리한 다주택자들이 많아 급매물이 쏟아지진 않을 것이란 분석이 많습니다.br br 지난해 서울의 증여 건수는 2만 3천여 건으로 1년 전보다 89나 늘었습니다.br br 때문에 세부담을 느낀 다주택자, 그러니까 집주인들이 월세를 올려 받거나 전세보다는 반전세로 세입자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br br 늘어난 세부담이 세입자에게 전가되는 겁니다.br br "월세를 올리든지, 전세를 올리든지 해서 월세로 많이 전환이 될 거 같고요. 세입자들만 더 힘들어지지 않을까요."br br 1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공시가격은 소유자 의견 청취를 거쳐 다음 달 29일 확정됩니다.br br 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1-03-16

Duration: 02:1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