험악한 미중 갈등에 한국 딜레마..."원칙 세워 대응해야" / YTN

험악한 미중 갈등에 한국 딜레마..."원칙 세워 대응해야" / YTN

전면적인 중국 견제에 나선 미국은 동맹국들과 힘을 합쳐 압박 수위를 더욱 높인다는 전략입니다. br br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닌데, 파장을 최소화하려면 미리부터 원칙과 명분을 세워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br br 김도원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br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어제) : 우리는 신장, 홍콩, 타이완 등 중국의 행위에 대한 깊은 우려에 대해 논의할 것입니다.] br br [왕 이 중국 외교부장(어제) : 미국은 윗사람처럼 중국에 말할 자격이 없습니다. 이런 방식은 중국에 통하지 않습니다.] br br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을 대하는 자세는 전임 트럼프 행정부보다 오히려 더 강경해 보입니다. br br 특히 중국이 갖지 못한 미국의 힘은 세계 곳곳에 포진한 동맹국들이라고 보고, 중국 견제에 적극 활용한다는 방침입니다. br br 미국의 동아시아 핵심 동맹국인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닙니다. br br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지난 18일) : 우리 동맹국 간의 공통의 접근법을 강화하는 것은 중국의 행위로 인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br br 경제적으로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중국과 척질 수 없는 우리로서는 난감한 현실입니다. br br 물론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미국과 중국 모두 우리에게 양자택일과 같은 요구는 하지 않았다고 일축했습니다. br br [정의용 외교부 장관(지난 18일) : 이번 미국 국무·국방장관 방한 시 쿼드에 관한 직접적인 논의는 없었습니다.] br br 하지만 쿼드가 다루는 현안을 한국과도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미국이 밝힌 만큼, 중국 견제에 동참해달라는 압박은 점차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지금은 비공식 협의체 수준인 쿼드가 제도화 단계에 접어든다면 우리도 입장을 밝힐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br br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실기하면 안 됩니다. 사드 같은 경우에 결국 그래서 우리가 어려움을 겪은 게 있거든요. 오히려 빨리 입장을 정한 후에 설득을 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한 접근이라고 생각합니다.] br br 특히 어떤 결정을 내리든 일관성 있는 원칙과 명분을 갖고 대처해야 파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br br YTN 김도원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5

Uploaded: 2021-03-19

Duration: 02:0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