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는 몽고 탓, 미세먼지는 한국 탓…중국 ‘적반하장’

황사는 몽고 탓, 미세먼지는 한국 탓…중국 ‘적반하장’

ppbr br 따뜻한 봄 날씨를 탁한 공기 속에 보내야 해서 아쉬우시죠. br br오늘 황사 경보가 잠깐 해제됐지만 내일 다시 전국이 뿌예집니다br br황사 발원지가 중국의 고원지역이라는 것은 위성사진으로도 분명히 드러나죠. br br그런데 중국이 초미세먼지가 한국에서 중국으로 온다며 적반하장식 문제제기를 하고 있습니다. br br베이징 성혜란 특파원입니다. brbr[리포트]br황사로 뿌옇게 덮인 중국 북부 지역 모습입니다. br br이튿날 베이징과 톈진 하늘도 잿빛에 휩싸였고, br br공기질도 '가장 나쁨' 수준까지 떨어져 일부 지역의 PM10 미세먼지 농도는 1㎥당 최대 1만 마이크로그램에 이르렀습니다. br br시뻘건 '화성'을 방불케 했던 베이징 최악의 황사 10여 일 만에 br br또다시 최악의 모래바람에 휩싸인 겁니다. brbr중국에선 올 들어 6차례 황사가 발생했는데, 최근 15년간 가장 많습니다. br br[라오샤오친 중국기상국 환경기상센터 고급 엔지니어] br"주요 원인은 몽골과 우리나라 서북부 지역의 강수량이 줄고 기온이 높아져 지표면이 건조하고 황사를 일으키기 좋은 조건이 됐기때문입니다." br br중국은 한국 탓을 합니다. br br중국 대기질을 관할하는 생태환경부 산하 환경관측센터는 br br한반도의 초미세먼지가 상하이 공기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br br지난 2018년 11월 기준으로 초미세먼지의 흐름을 분석한 결과, br br중국의 황사가 서울에 영향을 준 건 9에 불과한 반면 br br한국발 초미세먼지가 상하이에서 관측된 건 16나 된다는 겁니다. br br앞서 중국 관영매체와 외교부는 '중국발 황사'라고 보는 국내 시각을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br br[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지난 17일)] br"중국 여론은 몽골에서 황사가 왔다고 해서 비판하지 않습니다. 올해 황사가 눈에 띄게 줄면서 중국 뿐 아니라 지역 대기질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br br[성혜란 특파원] br"베이징 하늘은 이틀 연속 쾌청했지만, 한반도 대부분 지역엔 황사경보가 발령됐습니다. br br중국 기상당국은 4월에도 짙은 황사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br br베이징에서 채널A뉴스 성혜란입니다."br brsaint@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2

Uploaded: 2021-03-30

Duration: 02:1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