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뉴스] 암 질환 관리

[그래픽 뉴스] 암 질환 관리

[그래픽 뉴스] 암 질환 관리br br 암은, 곧 사망('암=사망')이라는 인식이 과거에 비해 많이 줄긴 했지만, 치료의 어려움, 고가의 치료비 등으로 암은 여전히 두려운 질환으로 꼽힙니다.br br 정부는 암으로 인한 고통과 사회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암 관리 정책을 시행해 왔는데요.br br 이번에 4차 암 관리 종합계획을 확정했습니다.br br 오늘의 그래픽 뉴스, 입니다.br br 우리나라의 암 발생률, 인구 10만 명당 270명 정도입니다.br br OECD 평균에 비해서는 낮은 수치죠. 암 생존율, 즉 일반인과 비교해 암 환자가 5년간 생존할 확률은 1995년 42.9에서 2018년 70.3로 높아졌습니다.br br 암 발생에서 주목되는 점은 희귀암의 증가입니다.br br 편도암은 1999년 100명대에서 2017년 500명대로 늘었고, 구강암은 300명대에서 1천 명대로 급증했습니다.br br 편도암의 경우 연평균 6.2 늘어난 60대 이상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졌고요.br br 구강암의 90에 달하는 설암은 젊은 층에서 더 많이 증가했는데, 20~30대에서 연평균 7.7 늘었습니다.br br 암 발병 시 제일 걱정되는 건 어떤 걸까요.br br 2019년 국립암센터에서 설문조사 한 결과 약 33가 치료비 부담을 꼽았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 회복 가능성 등을 가장 걱정하는 것으로 나왔습니다.br br 이 같은 암 발생 동향들을 바탕으로 정부가 세운 제4차 암 관리종합계획, 첫 번째는 2025년까지 암 환자 300만 명의 정보를 종합한 '국가암데이터'를 구축하는 겁니다.br br 국내 발생 암 환자 70의 정보를 포괄하는 규모인데요.br br 이를 전담하는 '국가암데이터센터'를 운영해 공익적 암 연구를 강화하고 민간의 항암제 개발을 촉진하는 데 활용한다는 방침입니다.br br 정부는 또 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 등 예방이 가능한 4개 암의 발생을 20 이상 낮추겠다고 밝혔습니다.br br 이를 위해 헬리코박터균 제균에 건강보험 적용을 확대하고, 대장내시경 검사를 국가암검진 1차 검진으로 도입하는 등 질환별 위험 요인을 조기에 제거하는 정책을 시행하기로 했습니다.br br 정부는 암 환자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는 방안도 추진합니다.br br 신규 항암제는 단계적으로 급여화하는 한편, 암 생존자 통합지지센터를 구축해 돌봄 지원을 받는 암 생존자의 수를 현재 7천 명에서 5년 후 1만8천 명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br br 정부는 또 국가암정보센터를 국가암지식정보센터로 개편해 암 관련 지침, 대체 요법 실태 등의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기로 했습니다.br br 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1-04-01

Duration: 02:5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