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위장전입’ 해놓고…현금영수증에 덜미 잡혔다

‘신도시 위장전입’ 해놓고…현금영수증에 덜미 잡혔다

ppbr br 국세청이 3기 신도시의 지난 8년간 거래 내역을 말 그대로 탈탈 털었습니다. br br165명이 세무 조사 대상인데, '현금 영수증'에 덜미가 잡힌 사람도 있습니다. br br박지혜 기자입니다. brbr[리포트]br부동산 ‘큰손’이었던 도매업자 A 씨. br br고양시 등 3기 신도시 예정지를 거액에 사들이고, 집도 지어 전입신고까지 마쳤습니다. br br하지만 수상한 점이 한둘이 아닙니다. br brA 씨의 현금영수증은 원래 살던 집 근처에서 계속 발행됐고, 매입한 땅 가격 대비 신고한 소득도 너무 적었기 때문입니다.br br국세청은 A 씨가 탈루 소득으로 땅을 산 뒤, 건물까지 지은 걸로 보고 자금 출처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br br[김태호 국세청 자산과세국장] br"필요시에는 자금을 빌려준 친인척과 관련 법인까지 조사범위를 확대하여 면밀하게 점검하겠습니다." brbr국세청은 3기 신도시 6개 지역의 지난 8년간 토지거래 내역을 뒤져 '수상한 거래'를 한 165명을 적발했습니다. brbr취득 자금 편법 증여, 법인 명의 매입, '지분 쪼개기' 유도 등 형태도 다양합니다.brbr사업가 B 씨의 경우 '가짜 농부' 행세를 하며 농지를 산 뒤, 자신이 만든 농업법인에 땅을 양도했습니다. br br양도소득세를 감면받는다는 점을 악용한 겁니다.br br국세청은 앞으로 반도체 클러스터, 산업단지 같은 국가와 지자체 주도 대규모 택지 개발지까지 조사 지역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br br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 br brsophia@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13

Uploaded: 2021-04-01

Duration: 01:3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