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장병 사망원인 조사 개시 결정...유가족 "중지 안 하면 강력대응" / YTN

천안함 장병 사망원인 조사 개시 결정...유가족 "중지 안 하면 강력대응" / YTN

지난해 9월 軍사망사고 진상규명위원회에 진정 br "천안함 순직 장병 사망원인 규명해 달라" br 규명위, 지난해 12월 천안함 순직 조사 개시 결정br br br 군 의문사를 조사하는 대통령 직속 군사망사고 진상규명위원회가 천안함 순직 장병의 사망원인에 대한 조사 개시를 결정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br br 정부 기관의 이 같은 결정을 놓고 유가족과 생존 장병 등은 북한에 의한 폭침을 부정하는 것이냐며 강하게 반발하며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br br 김문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천안함 좌초설'을 주장했던 신상철 전 천안함 민군합동조사단 조사위원이 지난해 9월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에 진정을 냈습니다. br br 천안함 순직 장병들의 사망 원인을 규명해 달라는 내용이었습니다. br br 규명위는 석 달 뒤인 지난해 12월 조사 개시 결정을 내렸습니다. br br 2010년 민군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 이후 정부 기관이 다시 조사 개시 결정을 내린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br br [서재일 과장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 : 위원회에서 조사 결정을 한 이유는 구성원들 사이에 각하 사유가 명확하다고 의견 일치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에는 일단 조사 개시 결정안으로 위원회에 상정을 합니다.] br br 천안함 생존 장병과 유가족, 최원일 전 함장 등은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br br 이들은 규명위를 찾아 사건 진행을 즉시 중지하고 사과문을 발표할 것과, 청와대의 입장 표명, 유가족과 생존장병에 대한 사과 등을 요구했습니다. br br 하루 동안 지켜본 뒤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강력 대응하겠다고도 밝혔습니다. br br 규명위는 조사 개시 결정을 내렸지만 본격적인 조사가 언제 이뤄질지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br br 일각에서는 규명위가 장병들을 사망에 이르게 한 천안함 침몰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는지 의문도 제기됩니다. br br 논란이 일자 규명위가 긴급회의를 소집하면서 각하 가능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국방부는 천안함은 북한에 의한 폭침이라는 민·군 합동조사단의 조사결과를 신뢰한다고 강조했습니다. br br YTN 김문경[mkkim@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9

Uploaded: 2021-04-01

Duration: 02:0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