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소비지출, 역대 최대↓...소득 상위 20%, 하위 20%의 4배 지출 / YTN

지난해 소비지출, 역대 최대↓...소득 상위 20%, 하위 20%의 4배 지출 / YTN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소비지출이 역대 가장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br br 소득이 가장 높은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지출은 하위 1분위 가구보다 4배 가까이 많았습니다. br br 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40만 원에 그쳤습니다. br br 1년 전보다 2.3, 물가 상승을 고려하면 2.8가 줄었습니다. br br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6년 이후 가장 큰 감소율입니다. br br 오락·문화 지출이 가장 크게 줄었고, 교육과 의류·신발, 음식·숙박 순으로 감소했습니다. br br 2차 재난지원금에 통신비 지원이 포함되면서 통신 지출도 2.6 줄었습니다. br br 반면,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 지출은 1년 전보다 14.6가 증가해 역대 최대 증가율을 나타냈습니다. br br 코로나19 이후 집밥 수요가 늘어난 가운데 식품 물가 상승도 영향을 끼쳤습니다. br br 가구원 수별로는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는데, 교통 지출은 크게 줄고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 지출은 늘었습니다. br br [정구현 통계청 가계수지동향 과장 : 1인 가구는 주거·수도·광열이 19.5로 가장 높고, 4인 가구와 5인 이상 가구는 교육비 지출이 각각 12.2, 13.4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br br 가구별 소득 수준에 따라 소비지출 규모는 크게 달랐습니다. br br 소득 하위 20 가구는 월평균 105만8천 원을 쓴 반면, 소득 상위 20 가구는 약 4배에 달하는 421만 원을 지출했습니다. br br 다만, 소득 1분위 평균 가구원 수가 1.44명인 반면, 5분위는 3.35명인 점도 영향을 끼쳤습니다. br br 소득 1∼4분위 가구는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의 지출 비중이 가장 컸고, 5분위 가구는 지난해 자동차 구입이 늘어난 영향으로 교통 지출이 가장 많았습니다. br br YTN 오인석[insukoh@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

Uploaded: 2021-04-08

Duration: 02:1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