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화재 CCTV 보니…천장 위 ‘반자’ 불길 더 키웠다

남양주 화재 CCTV 보니…천장 위 ‘반자’ 불길 더 키웠다

ppbr br 지난 주말 경기 남양주 주상복합 건물에서 큰불이 났던 사건의 화재감식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br br소방당국은 천장 위 '반자'라는 공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br br이솔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brbr[리포트]br남성이 상가 밖으로 급하게 빠져나갑니다. br brCCTV 화면이 뿌옇게 흐려질 정도로 연기가 차오르더니 상가 앞쪽으로 불길이 번지기 시작합니다. brbr소방당국은 천장 위에 비어 있지만 평소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공간인 '반자'를 통해 불이 빠르게 번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brbr식당 주방에서 시작된 불이 연기를 밖으로 배출하는 배연 설비를 타고 천장으로 올라갔고, '반자'를 통해 다른 상가와 주차장으로 번진 겁니다. br br불이 났을 때 스프링클러가 작동했지만 반자 아래 설치돼있다보니 제 역할을 할 수 없었습니다. br br특히 반자 안에 있는 단열재가 불을 더 키웠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br br[소방당국 관계자] br"그쪽(반자)으로 연소가 확대됐다고 추측을 하는데, 그 사이 공간에 많은 가연물질이 있었다는 거죠. 보이지 않는 가연물질들이…." brbr현행법상 스프링클러가 설치돼 있으면 불가연성 소재, 즉 불에 타지 않는 마감재를 반드시 쓸 필요가 없습니다. br br그런데 정작 가연성 물질로 채워진 반자에는 스프링클러가 없는 겁니다. brbr지난 2018년 9명의 목숨을 앗아간 남동공단 화재 역시 반자에서 불이 시작됐습니다. br br소방 전문가들은 반자를 '화재 사각지대'로 꼽습니다. br br[박재성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br"(반자는) 스프링클러나 소화설비에 의한 소화도 안 되고, 거기 설치되는 단열재가 연소 확대가 빠르고 그럼에도 거기에 대한 규제가 전혀 안 이루어졌던 부분도 있고" brbr이번 기회에 반자 내부의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 규제를 손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br br채널 A 뉴스 이솔입니다. br br2sol@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17

Uploaded: 2021-04-13

Duration: 01:5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