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전 부작용 사례에 보류·중단·접종…나라마다 얀센 혼선

혈전 부작용 사례에 보류·중단·접종…나라마다 얀센 혼선

ppbr br 얀센 백신을 맞자니 불안하고, 안 맞자니 아쉬운 건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 br br얀센은 단 한번만 맞으면 되는데다, 보관도 쉬워 다들 기대가 컸는데요. br br미국에서 최근 2주 동안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어, 전 세계가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습니다. br br김윤수 기자입니다. brbr[리포트]br의료진이 주사를 놓기 전 백신 이름을 밝힙니다. br br[미국 의료진] br"오늘은 모더나 백신인 거 알죠?" br br[모나 가르시아 미국 백신 접종자] br"네, 네, 네" br br[미국 의료진] br"오늘 얀센은 없어요." br br미 보건당국은 얀센 백신 접종자 700만 명 중 6명에게서 혈전 증상이 나타나자, 접종을 일단 중단했습니다. br br[모나 가르시아 미국 코로나19 백신 접종자]br"얀센 백신을 맞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 접종 연기 소식을 들었죠. 접종센터에 전화했고 모더나로 바뀌었더라고요. 안심했어요." br br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백신자문기구를 소집했지만 접종 재개 여부를 결론 내지는 못했습니다. br br안전성을 입증할 만한 정보가 아직 부족하다는 겁니다. br br다만 한 번만 접종하면 되는 얀센 백신의 접종을 계속 중단하면 산간 지역 주민이나 노숙자 등에 대한 접종이 어려워진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br br유럽에서도 얀센 백신의 접종 여부를 두고 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brbr벨기에는 보류, 스페인은 대기, 덴마크는 혈전 논란이 있는 아스트라제네카처럼 접종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br br코로나 확산세가 큰 프랑스는 계속 접종하겠다고 밝혔습니다.br br[가브리엘 아탈 프랑스 정부 대변인] br"당국의 승인을 받은 얀센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동일한 조건에서 55세 이상의 사람들에게 접종될 겁니다." br br아스트라제네카에 이어 얀센 백신마저 부작용 우려가 확산하면서 세계 각국의 화이자 모더나 백신 쟁탈전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br br채널A 뉴스 김윤수입니다.


User: 채널A News

Views: 0

Uploaded: 2021-04-15

Duration: 0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