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투기 수사 일부 성과…고위직 수사는 '소걸음'

땅투기 수사 일부 성과…고위직 수사는 '소걸음'

땅투기 수사 일부 성과…고위직 수사는 '소걸음'br br [앵커]br br 부동산 투기 사건에 대한 합동 특별수사본부가 출범한 지 한 달이 지난 가운데 수사 범위는 전국으로 확대된 상태입니다.br br 일부 사건은 혐의가 소명돼 구속되는 사람이 나오고 있는데요.br br 하지만 국회의원을 포함한 고위공직자에 대한 수사는 그다지 속도가 나지 않고 있습니다.br br 조한대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사태의 발단이었던 LH 전·현직 임직원뿐 아니라, 전·현직 공무원·지방의원·지자체장으로까지 수사 대상을 확대해온 경찰.br br 투기 의심자들의 범죄 혐의를 소명해 구속 시키고, 검찰로 넘기기도 하는 등 일부 성과를 올리기도 했습니다.br br 국회의원 등 고위공직자 관련 의혹에도 고강도 수사 의지를 피력해왔습니다.br br "또한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국회의원, 전·현직 고위공직자 등 신분과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성역 없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수사해 나가겠습니다."br br 하지만, 강제수사에 돌입한 전 행복청장 세종시 땅 투기 의혹 수사는 길어지고 있습니다.br br 정부 합동 특별수사본부는 "분석해야 할 자료가 많은 상황"이라며 "출석하는 데까지 당사자와 조율해야 할 문제도 있어 소환 시기를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br br 지난달 이미 수사선상에 오른 국회의원이 10명이라고 밝혔지만, 현재 특수본의 대답은 "고발인 조사는 끝났다." 였습니다.br br 꼬우면 LH로 이직하란 블라인드 글 작성자에 대한 수사도 별다른 진척이 없고, 이 과정에서 경찰의 미숙한 수사 방식이 입방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br br 전국에서 인력을 대거 투입해 투기와의 전쟁에 나선 경찰.br br 자칫 "변죽만 울린 수사였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는 만큼 경찰 내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조한대입니다. (onepunch@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1-04-17

Duration: 02:0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