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 주사기’ 50만 개 쓰고 “회수 중”…당국 조치 적절했나

‘불량 주사기’ 50만 개 쓰고 “회수 중”…당국 조치 적절했나

ppbr br 금쪽같은 백신을 한 방울도 남김 없이 쥐어짠다고 해서 정부가 K- 주사기라고, 홍보했었죠.br br한 업체 제품에서 이물질이 여러 차례 발견됐습니다.br br이미 50만 개는 썼고요 불량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부랴부랴 70만 개를 긴급 수거하고 있는데요.br br저희 취재진이 문제의 주사기 사진을 확보했습니다.brbr인체에 해가 될지, 당국 조치는 적절했는지 이다해 기자가 긴급 점검했습니다.brbr[리포트]br주사기 피스톤 끝부분에 바늘 두께보다 큰 0.5mm정도 크기의 고무가 삐죽 튀어나와있습니다. br br또다른 주사기는 눈금의 높이가 다른 주사기와 눈에 띄게 차이가 납니다.br br정량의 백신 투여가 불가능한 겁니다. br br접종 전 불량을 확인한 의료진은 곧바로 주사기 사용을 보류했습니다. br br[전강일 이화여대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 br"(이물질 때문에) 막히면 정량투어가 안될 수 있고 정말 운이 없게 몸 안에까지 들어가면 국소적으로 붓거나 아니면 염증이 생기거나…" br br해당 주사기는 백신 1병당 접종 인원을 1명 더 늘릴 수 있는 최소 잔여형 주사기입니다. br br첫 이물질 발견 신고는 지난 2월 27일, 백신 접종이 시작된 바로 다음날이었습니다. brbr당시 식약처는 주사기 공장 근무자의 작업복에서 떨어져 나온 섬유질이 유입된 것을 확인했지만 회수명령 대신 환경 개선 같은 시정명령만 내렸습니다. br br이후 서울과 경기, 인천, 부산과 충남 등지에서 섬유질과 피스톤의 고무 등 20건의 이물질 발견 사례가 접수되면서 사태가 커졌지만 추가 조치는 없었습니다. br br[식약처 관계자] br"심각도에 따라서 보통 그런 조치 결정을 하는데 일반적으로 이물질은 강제 회수 명령을 하지는 않고요 시정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br br결국 업체측은 첫 신고 이후 20일이 지난 3월 19일에서야 자체적으로 수거를 시작했습니다. br br납품된 120만개 중 50만개가 이미 사용됐고 70만개는 회수 중입니다. brbr질병관리청은 이물질이 발견된 주사기로 인해 이상반응이 신고된 사례는 없다며 인체 위해성은 낮다고 설명했습니다.br br하지만 백신 수급 차질을 빚는 상황에서 불량 주사기에 대한 안일한 대응이 국민 불신을 키운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됐습니다. br br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 br brcando@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3

Uploaded: 2021-04-17

Duration: 02:1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