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률만 급급…눈 치우고 문서 복사하는 청년 일자리

취업률만 급급…눈 치우고 문서 복사하는 청년 일자리

ppbr br 상인들이 직접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면 될 일인데, 굳이 단기 일자리까지 만들어야 했을지 의문이죠. br br이런 식으로 정부가 만들어내는 청년 일자리들이 질보다 양에만 치중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br br구자준 기자가 그 실태를 정리했습니다. brbr[리포트]br문재인 대통령의 공약 1호는 '일자리 창출', 그 중에서도 청년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거였습니다. br br이런 기조에 맞춰 정부 부처마다 청년 일자리를 만들어왔습니다. brbr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 207억 원을 들여 2,050명의 청년을 채용하겠다고 발표했고, 국토교통부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지난해까지 833억 원을 투입해 1만 3천여 명을 채용했습니다. br br모두 고용기간이 정해진 단기 일자리인데, 어떤 일을 했는지 볼까요? brbr한국도로공사는 겨울철 제설 작업에 청년들을 투입했고, 코레일은 편의점 판매 보조나 수화물 처리, 문서 복사 업무를 맡겼습니다. br br한국공항공사도 주차안내, 출발여객 발열 체크 같은 일을 시켰는데요. br br청년들은 이런 업무를 하면서 평균 180만 원에서 2백만 원 수준의 월급을 받았습니다. br br단기 근로 경험이 있는 청년들은 어떻게 생각할까요? br br[단기 근로 경험자] br"보수에 비해서 되게 쉬운 작업이었다고 생각하거든요. (청년) 육성하자 해놓고 왜 돈만 주고 있느냐고 하는 분들도 계시고." br br[단기 근로 경험자] br"단기 일자리 했다고 하면 그냥 아르바이트 개념이지. 취업 연계성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br br세금으로 만든 이런 일자리는 고용 통계에 반영됩니다. brbr지난달 청년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만 명 가까이 늘었고, 청년 고용률도 2.6p 증가했습니다. br br그런데 늘어난 일자리 중 70는 임시직이었습니다. brbr경제 전문가의 진단을 들어봤습니다. br br[김소영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 br"복지를 위한 복지성 일자리에 가깝거든요. 받는 사람들은 돈을 주니까 좋기는 한데 그 돈 값어치만큼 우리가 생산하느냐면 그렇지 않기 때문에 결국 경제 전체적으로 보면 도움이 안 되는 거고요." br br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한 단기 처방이라고 하더라도, 경력 개발처럼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br br채널A 뉴스 구자준입니다. brjajoonneam@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6

Uploaded: 2021-05-20

Duration: 02:2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