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관평원 ‘유령 청사’ 확인 안 해 수십억 세금 낭비

중기부, 관평원 ‘유령 청사’ 확인 안 해 수십억 세금 낭비

ppbr br 그런가하면 국가가 세금을 생각 없이 쓰는 건 아닌지 회의감 드는 소식도 있습니다. brbr최근 논란이 된 관세평가분류원 새 청사 얘긴데요. brbr지을 필요도 없던 건물에 혈세 171억을 들여 놓고는, 중소벤처기업부는 1년 째 놀고 있는 빈 건물을 활용할 기회도 놓쳤습니다. brbr나랏 일하는 부처가 ‘몰라서’ 놓쳤다는 변명이 더 황당합니다. brbr김유빈 기자입니다.brbr[리포트]br기획재정부 산하 '행정·공공기관 복덕방' 시스템입니다. br br기재부가 공공기관의 유휴청사들을 중개하는 시스템으로, 지난 2015년 마련됐습니다. brbr공공청사를 임차하거나 신축하기 전, 지방이전으로 발생한 빈 청사나 사옥이 있는지 먼저 파악하고, 그 공실부터 우선 활용하도록 기재부가 중개하는 시스템입니다. br br정부 예산을 줄이자는 차원입니다. br br기재부는 1년 남짓 방치되고 있던 관평원 신청사에 대해, "복덕방 시스템을 통해 해당 신축 건물에 대한 수요가 있는지 파악하고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br br하지만 제대로 활용되진 못했습니다. br br중기부가 내년 8월 세종에 제3정부청사 완공을 앞두고 우선 이전하기 위한 장소를 알아보던 중, 관평원 신청사는 검토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겁니다. brbr중기부 측은 "유휴부지나 청사를 활용할 수 있는 복덕방 시스템이 있는 줄 몰랐다"라며, "비어 있는 신청사가 있단 것도 모르고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br br결국 중기부는 약 1년 간 월세 2억 원에 민간건물을 임대계약했습니다. brbr1년치 임대료만 24억 원. br br전기세, 관리비, 600여 명의 직원들이 두 차례에 걸쳐 이사하는 비용까지 고려하면 막대한 혈세가 낭비되는 겁니다. brbr[최호택 배재대 행정학과 교수] br"정부기관들이 국민의 혈세를 너무 우습게 생각하는 것 같아요. (기재부는) 국민들 세금을 관리하는 창구인데, 치밀하고 세밀하게 운영돼야…" br br1년 넘게 방치된 관평원 신청사. br br부처 간 엇박자로 다시 활용 될 기회조차 놓쳤단 비판이 나옵니다. br br채널A 뉴스 김유빈입니다. br breubini@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7

Uploaded: 2021-05-22

Duration: 02:1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