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5월 소비자물가 5% 급등...13년 만에 최대폭 / YTN

美 5월 소비자물가 5% 급등...13년 만에 최대폭 / YTN

미국 중앙은행이 시장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일시적인 현상으로 해석했던 미국의 물가가 심상치 않습니다. br br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5 올랐는데 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가장 큰 폭입니다. br br 워싱턴 강태욱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br br [기자] br 미국 노동부는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5 올랐다고 밝혔습니다. br br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4.7도 넘었습니다. br br 국제 유가가 150달러를 넘었던 2008년 8월 이후 13년 만에 가장 큰 폭입니다. br br 전월 대비 기준으로도 0.8 급등한 4월에는 못 미치지만 0.6나 올랐습니다. br br 물가 급등은 일단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하면서 봉쇄가 이뤄지고 수요가 급감한 지난해의 기저효과 때문입니다. br br 여기에 정상화에 따른 수요 급증과 원자재나 노동력 부족 현상이 상승 폭을 키운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br br [윌리엄 포스터 무디스 투자서비스 부사장 : 아시다시피 소비자물가지수의 3분의 1은 중고차 판매 때문에 이루어졌고, 지난달과 마찬가지로 상당히 증가했습니다. 이는 반도체에서 비롯된 자동차 공급망의 붕괴를 반영하는 것입니다.] br br 이처럼 물가 상승이 예상을 웃돌면서 중앙은행인 연준의 기조가 변할지 관심입니다. br br 연준은 올해 물가 상승은 불가피한 것으로 일시적인 현상으로 봤습니다. br br 아직 물가를 잡기 위한 금리 인상 등 통화정책에 나서지 않겠다는 기조입니다. br br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지난 4월 28일) : 경제 정상화 시기에는 물가에 대한 상승 압력이 다소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왜 그런지 얘기해보겠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압박은 경제 정상화 과정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일시적인 것일 수 있습니다.] br br 하지만 변화의 여지가 생긴 셈입니다. br br 이에 따라 이르면 다음 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어떤 논의가 오갈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br br 시장에서는 물가 상승 폭이 예상보다 큰 만큼 금리 인상이나 자산매입 축소 논의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br br 워싱턴에서 YTN 강태욱[taewookk@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7

Uploaded: 2021-06-10

Duration: 02:0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