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소판 감소성 혈전으로 숨진 30대..."백신 인과성 첫 인정" / YTN

혈소판 감소성 혈전으로 숨진 30대..."백신 인과성 첫 인정" / YTN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뒤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으로 숨진 30대에 백신 관련성이 인정됐습니다. br br 국내 접종이 시작된 이후 백신과 사망 사이 인과성이 인정된 건 처음입니다. br br 이형원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백신과 사망 사이 인과성이 인정된 국내 첫 사례는 아스트라제네카를 맞은 뒤 숨진 30대입니다. br br 30대 초반의 A 씨는 지난달 27일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9일 뒤 심한 두통과 구토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br br 당시 약물 처방을 받고도 증상은 나빠졌고, 지난 8일 상급병원에 입원해 치료받다가 8일 만에 숨졌습니다. br br 사망 전날 항체검사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부작용인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확진을 받았습니다. br br [박영준 예방접종추진단 이상반응조사지원팀장 : 최종적으로 인과성이 인정된 사례였고 두통, 구토라는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인해서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을) 의심하는 부분들이 좀 지연이 있지 않았을까….] br br 별다른 기저 질환이 없었고, 접종 이후 증상 발생과 사망까지 일련의 연속성이 확인된 점도 백신 관련성을 인정받는데 영향을 줬습니다. br br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같은 바이러스벡터 백신의 부작용인 희귀 혈전은 주로 접종 뒤 시간을 두고 나타나는 만큼 주의가 필요합니다. br br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 주로 접종 후 4일부터 4주 사이에 발생할 수 있어서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의심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즉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br br 접종 뒤 생긴 두통이 진통제로도 없어지지 않거나, 구토가 동반되고 시야가 흐려지면 혈전 부작용을 의심해야 합니다. br br 호흡 곤란이나 흉통, 복통, 팔다리 부기는 물론 멍이나 출혈이 나타나도 마찬가집니다. br br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접종) 이틀 이후에 발생하면, 특히 주사 부위 이외 부분에 멍이 들거나 출혈 증상이 나타나면 희귀 혈전에 동반되는 혈소판 감소증으로 의심하시고 (진료받아야)….] br br 사망 사례를 포함해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이 확인된 국내 환자는 모두 2명으로, 회복한 한 명도 백신 관련성은 인정됐습니다. br br 이 외에 지금까지 중증 2건, 급성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 72건도 백신 접종으로 인한 피해로 분류됐습니다. br br YTN 이형원[lhw90@ytn.co.kr]입니다. br br 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br [카카오톡] YTN을 ...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

Uploaded: 2021-06-21

Duration: 02:3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