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하락 경고했지만...매매도 전세도 '고공행진' / YTN

집값 하락 경고했지만...매매도 전세도 '고공행진' / YTN

부동산 시장 불안정이 언제까지 이어질까요? br br 정부의 집값 하락 가능성 경고에, 기준금리 인상까지 가시화되고 있는데도 집값과 전셋값은 또 올랐습니다. br br 이런 흐름은 하반기까지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br br 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부동산 거품이 꺼질 수 있다는 경고도, br br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지난 3일) : 서울 아파트 가격이 물가상승률을 배제한 실질가격 기준으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조정을 받기 이전 수준의 과거 고점에 근접했다는 점입니다.] br br 올해 안에 기준금리 인상 단행을 시사한 것도, br br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경제주체들의 레버리지(차입)를 안정적인 수준에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경기, 물가 상황과 함께 이러한 점에도 유의하면서 통화정책을 수행해 나가겠습니다.] br br 불붙은 부동산 시장을 달래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br br 전국 아파트값은 일주일 만에 0.27 올라, 한 주 전보다 오름폭을 키웠습니다. br br 올해 들어 아파트값은 무려 6가 넘게 치솟아, 지난해 상승세를 훌쩍 뛰어넘었습니다. br br 특히 수도권 아파트값은 0.35 상승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2년 5월 이후 9년여 만에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br br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전세시장까지 들썩이는 모습입니다. br br 전국 아파트 전셋값이 조금씩 오름세를 확대해나가고 있는 와중에, 경기도와 인천 등 수도권의 전셋값은 한 주 만에 상승 폭을 대폭 늘렸습니다. br br 이런 부동산 시장 불안은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많습니다. br br 실제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60가 넘는 응답자가 하반기에도 주택 가격이 오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br br 집값이 내릴 것이란 전망은 7에 불과했습니다. br br 앞날이 어두운 건 전세시장도 마찬가지입니다. br br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 : 올해 아파트 입주물량이 지난해보다 많이 줄어드는 데다 보유세 부담으로 전세를 월세로 전환하려는 집주인들이 많아 하반기에도 전세시장 불안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br br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선 지속적으로 주택을 공급한다는 신호에 더해, 지지부진한 공급 정책에서 성과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br br YTN 조태현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

Uploaded: 2021-06-24

Duration: 02:23

Your Page Title